현대車, 핵심 부품 사업군 조정…시장은 긍정적, '노조 반발' 변수
입력 2015.05.21 07:05|수정 2015.07.22 09:32
    [Invest Chosun]
    계열사간 중복 사업 교통정리
    핵심기술 외부 유출 막지만
    부진 땐 2차 손실 위험도 커져
    • [05월13일 09:10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게재]

      현대자동차그룹이 핵심 부품을 대상으로 한 계열사 간 사업군 재조정을 진행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기아자동차 등 완성차업체가 생산해 온 부품의 신규 물량이 부품 계열사로 넘어가고 있다. 부품 계열사 간에도 중복으로 생산하는 부품에 대한 교통정리가 이뤄지고 있다.

      시장의 반응은 긍정적이다. 각 계열사의 경쟁력 강화를 유도함으로써 그룹 전반의 선순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노조의반대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재조정이 완료되기까지 진통을 피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 현대차그룹은 완성차업체가 부품업체를 계열사로 거느리는 수직적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자동차 동력 관련 부품은 완성차업체와 계열 부품업체가 함께 생산하는 체계다.

      현대위아는 현대차·기아차와 함께 일부 엔진 생산을 맡고 있다. 자동변속기와 수동변속기는 완성차업체와 함께 각각 현대파워텍, 현대위아·현대다이모스가 생산을 분담하고 있다.

      계열사로부터 부품을 조달함으로써 현대차는 타업체로 핵심기술이 유출되는 것을 막고, 자사 브랜드에 특화된 부품을 생산하는 강점을 갖고 있다는 평가다. 다만 부품 계열사는 완성차업체에 대한 가격협상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완성차업체의 실적에 따라 부품사 실적도 연동되는 만큼 현대차·기아차 실적부진이 장기화할 경우 부품 계열사들의 2차 손실도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김준성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완성차-부품업체 관계가 수평적으로 나아가는 것이 세계적인 트렌드"라며 "일본 자동차 생산시장에서도 부품업체가 완성차업체로의 종속을 탈피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완성차업체가 생산하고 있는 기존 부품 물량은 유지하되 신규물량을 부품사에 수주를 집중하는 방향으로 생산 구조가 재편되고 있다. 현대위아의 엔진 생산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충북 서산 오토밸리 공장에 연산 10만대 규모 엔진공장을 신설한다는 계획을 밝혔고, 중국·멕시코에서도 공장 증설이 이어질 전망이다.

      현대차그룹 계열사 관계자는 "완성차업체와 부품 계열사들이 생산하는 부품의 품질은 동일하다"며 "인건비와 생산성을 고려할 경우 부품 계열사 생산이 더 유리하기 때문에 신규 물량을 계열사들이 생산하는 방향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부품 계열사 간 사업군 재조정도 이뤄지고 있다. 수동변속기와 듀얼클러치변속기(DCT)의 경우 현대위아와 현대다이모스 모두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DCT는 현대위아가 처음 주도적으로 개발을 시작했지만 현대다이모스에서 투자가이어지고 있다. 향후 현대위아가 생산하는 변속기 사업군을 현대다이모스로 이전하는 방안이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현대위아·현대다이모스 모두 사업군 조정의 구체적인 방법이나 일정에 대해 밝힐 수 있는 내용이 없다는 입장이다.

      현대차 부품 계열사들의 사업 재조정에 대한 시장 반응은 긍정적이다. 계열사 간 중복된 영역에 투자를 하는 것보다 각 업체가 한 부품을 전담하는 편이 자금사용에 효율적일것이라는 의견이다. 또한 선택과 집중을 통해 제품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란 분석이다.

      임은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부품계열사 간 경쟁을 유도하기 보다는 교통정리를 통해 각 부품사가 적절한 수준의 영업 현금흐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며 "이를 통해 연구개발(R&D) 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으로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각 업체 노조들의 반발로 사업군 재조정 계획이 지연될 수 있는 점은 변수다. 실제로 현대위아가 지난해 말 밝힌 1440억원 규모 엔진공장 신설 계획은 완성차업체 노조의 반발 등으로 진척이 더딘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노조의 반발이 심하기 때문에 기존 완성차업체가 생산해 온 물량을 축소하는 것은 힘들다”며“부품사의 경우에도 다른 계열사로 사업군을 이전할 경우 노조의 반발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