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채 수요예측, 이달 중순에 대거 몰린 까닭은
입력 2015.07.23 09:05|수정 2015.07.28 14:27
    GS건설·풍산 사례 재현 우려…실적발표前 채권발행 권유
    3월 채권발행 대우조선 대규모 손실 가능성…당국 노력 무색
    • 회사채 시장에서 하반기 기업들의 자금조달이 한창이다. 특히 이달 중순에 회사채 수요예측이 집중됐다.

    • 회사채 기사_오프그림_0722

      당장 현대중공업·현대백화점·SK건설·아시아나항공 등 12개 기업이 7월 중순 이후 회사채 발행을 계획하고 있다. 발행 규모만 2조원에 육박한다. 발행 기업의 수요예측이 이달 14~17일에 집중됐다는 게 눈에 띈다. 이달 말 잠정 반기 실적 발표 이전에 회사채 발행을 마무리 짓겠다는 포석이다.

      증권사 DCM(채권자본시장) 관계자는 "이달 발행 기업을 마지막으로 다음달 14일 반기실적 제출일 이전까지 회사채 발행이 소강상태에 접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같은 현상에는 금융감독원의 입김이 상당부분 작용했다. 투자자 모집을 끝내고 적자 실적을 발표, 시장에 혼란을 일으키는 것을 최소화하겠다는 의중이 반영됐다.

      지난 2013년 GS건설이, 올해는 풍산이 회사채 수요예측을 통해 투자자 모집이 끝났거나 채권 발행이 마무리된 상황에서 적자 실적을 발표했다. 잠정실적과 확정실적 사이의 큰 격차가 발생하며 투자자들의 불만이 거세졌다. '투자자 보호를 신경 쓰지 않았다'는 비난의 화살이 금융당국으로 쏟아졌다.

      이에 감독당국은 같은 상황이 재현될까 우려, 창구지도를 크게 강화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반기실적 발표 전의 회사채 발행 건들에 대해서는 투자자 보호를 위해 잠정실적이 확정이 안 됐더라도 증권신고서에 예상치를 기재하고, 확정됐을 경우 중대한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을 기재하도록 해 투자자들이 회사의 상황이 바뀔 수 있음을 인지하도록 하는 것이 기본방침"이라고 말했다.

      이런 방침 아래에 몇몇 조사역들은 잠정실적 발표 전에 채권발행이 마무리되도록 발행기업, 주관 증권사와 일정 조율을 위해 손발을 맞추기도 했다. 회사채 발행과 수요예측이 특정시기에 몰린 것도 이 때문이라는 것.

    • 하지만 최근 대우조선해양 사태가 발발하면서 감독당국의 이런 노력도 무색해졌다. 그렇게 우려했던 사태가 결국 다시 현실화됐기 때문이다.

      대우조선은 지난 3월 3500억원의 대규모 공모채를 발행했으나 이 과정에서 2조원대 부실 내역이 전혀 공개되지 않았다. 지난 6월 기자간담회에서야 대규모 손실을 2분기 영업실적에 반영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회계처리에 대한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면서 신용등급도 A-로 한 단계 강등됐다.

      이와 관련, 금감원은 "감독당국은 회사채에 대한 심사를 할 뿐, 투자 결정은 투자자들이 하는 것"이라는 원론적인 입장이다. 하지만 다른 조선사들과 달리 대우조선이 '나홀로 흑자'를 발표하고 이런 내역이 그대로 증권신고서에 기재됐다. 금융당국으로서도 감독과 관리 소홀이라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