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의 대항마로 급부상
유효경쟁 성립 기대감 높여
가격·외국자본·조직논리
매각 변수로 작용할 듯
-
대우증권 매각이 본궤도에 올랐다. KB금융지주가 가장 강력한 후보로 꼽히는 가운데 미래에셋증권도 인수전 참여를 선언했다. 두 후보 모두 의지와 여력을 갖추고 있어 매각 성사 가능성은 커졌다.
유효경쟁 성립이 가시화하며 산업은행의 선택지는 늘었다. 다만 KB금융과 미래에셋증권이 매각자의 눈높이를 맞춰줄 지 불투명한 데다 금융당국의 입김을 벗어나기 어려운 점이 변수다.
◇새 주인 0순위 KB금융, 대항마 부상한 미래에셋證
그간 시장의 시선은 KB금융으로 쏠렸다. 다른 금융지주와 견줘도 자회사 라인업이 탄탄하지만 증권사가 약한 점이 아쉬웠다. KB금융이 원하는 수준의 증권사는 현재로선 대우증권이 유일하다. 인수에 성공하면 국내 1위 증권사를 거느리게 된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KB금융이 대우증권을 인수할 경우 복합 점포를 활용해 리테일 판매를 늘릴 수 있을 것”이라며“KB투자증권과 대우증권은 주력 사업이 달라 무난한 통합을 이룰 수 있고 구조조정 부담도 덜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투자증권 패키지 인수 실패를 만회할 기회이기도 하다. KB금융 고위 관계자는“우리아비바생명만 아니었다면 1000억원을 더 써서라도 인수했을 것”이라고 아쉬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KB금융의 인수 여력도 부족하지 않다. 1분기 말 기준 이중레버리지비율은 101.51%다. LIG손해보험 인수로 비율이 그보다 높아졌지만 신한금융(121.6%), 하나금융(125.63%), NH농협금융(117.04%) 등 경쟁사에 비해 관리가 잘 이뤄졌다. 지난해 자회사로부터 5000억원 이상의 배당도 받았다.
-
KB금융이 유일한 후보로 굳어지는 듯 했지만 미래에셋증권이 대항마로 급부상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9일 1조2067억원 규모 유상증자 계획을 밝혔다. 종합금융투자사업자(프라임브로커) 진출 및 대우증권 인수를 위한 출사표도 던졌다. 증자 완료 시 미래에셋증권은 자기자본 3조6543억원의 3위 증권사로 도약하게 된다. 대우증권까지 인수할 경우 7조9124억원의 초대형 증권사가 된다. 현재 1위 NH투자증권은 4조4954억원이다.
자본규모로는‘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대형 투자은행(IB) 탄생’이라는 금융당국의 정책 방향에 부합하게 된다. 주력 사업도 크게 겹치지 않아 시너지효과도 기대된다. 증자자금에 1조9000억원에 달하는 매도가능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있어 자금력도 KB금융에 크게 뒤처지지 않는다.
◇흥행 가능성 커졌지만‐ 가격·외국자본·조직논리 변수
매각 흥행 가능성은 커졌지만 고려해야 할 요소는 많다.
가장 큰 쟁점은 역시 가격이다. 올해 초 1만원 이하로 떨어졌던 대우증권의 주가는 한때 1만7950원까지 치솟았다. 산업은행 보유지분(43%) 시가는 2조5000억원을 넘었다. 프리미엄을 감안한 예상 거래 규모는 3조원에 달했다.
최근 주가는 하락세다. 10일 종가기준 산업은행 보유지분 가치는 약 1조7840억원으로 30%의 프리미엄을 더하면 2조3200억원 수준이다. 순자산가치는 약 1조8310억원, 장부가는 1조7758억원이다.
산업은행은‘올해 재무제표 반영이 어렵다’며 대우조선해양 부실과 선을 그었지만 최근 주가가 아쉬울 수밖에 없다. 오랜 기간 가치 개선을 이루지 못했다는 비판이 나오는 터라 최대한의 프리미엄을 얻어내야 하는 상황이다.
인수자의 입장은 다르다. 무리한 인수로‘승자의 저주’란 비판을 받길 원치 않는다. 가치 평가 기준도 현대증권과 우리투자증권 등 과거 대형 증권사 M&A에 맞춰질 전망이다.
KB금융 이사회는 올해 새로 조직됐는데, 과거엔 M&A 등 주요 현안에서 보수적이고 깐깐한 움직임을 보여왔다. 가격에 제동을 걸 가능성이 있다. 미래에셋증권 역시 증자만으로도 프라임브로커 진출이 가능하다. 프라임브로커 자격을 획득한 대형 증권사들이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지 못했던 터라, 초대형 증권사탄생의 실익을 따지게 될 것으로 보인다.
자본력을 갖춘 외국 금융회사도 여전히 예측하기 어려운 변수다. 안방보험의 동양생명 인수로‘호혜주의’원칙은 상당 부분 희석됐고, 산업은행도 외국계 자본에 매각하는 방안을 배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단,‘ 국내자본시장발전’이라는 정성적 요소를 단서로 달았다. 웬만해선 국내 회사에 우위를 점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외국자본이 국내 회사가 감당하기 어려운 금액을 써내면 정부와 산업은행은 골치아픈 상황에 놓이게 된다. 이를 외면할 경우 공정성·차별 시비와 함께 해당 국가와 갈등이 불거질 수도 있다.
국책은행과 금융당국의 입김을 벗어나기 어려운 금융회사 간 거래이기 때문에 경제논리보다는 조직간의 정치논리로 귀결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5년 09월 16일 11:16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