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 찾기 작업…뚜렷한 그림 안나와
-
[편집자주] 세계 1위를 자부했던 국내 조선업계가 위기에 빠지는 데는 채 몇 년이 걸리지 않았다. 기술력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제살 깎아먹기'식의 수주경쟁으로 내몰린 결과다. 관련업계에선 이번 위기를 반면교사 삼아 조선산업에 대한 재편이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한다. 인베스트조선은 국내외 조선업 전반, 그리고 개별 기업들의 현황과 과제 등을 종합적으로 진단해봤다.
대우조선해양(이하 대우조선)의 전방위 구조조정에 속도가 붙었다. 인력감축·자산매각에 이어 이달 말에는 산업은행(이하 산은) 실사결과 기반의 재무구조 개선안이 나올 예정이다.
일련의 조치에 큰 의미를 부여하기엔 대우조선의 잠재부실에 대한 시장의 불안감이 너무 크다. 한 차례 매각이 불발된, 시들해진 '매물'이란 점도 우려를 더하고 있다.
-
- 이미지 크게보기
- 대우조선해양 거제조선소 전경
◇ 자산매각·인력감축·산은 지원…앞날 우려 잠재우기 '불충분'
대우조선은 인력감축과 함께 보유 중인 자산을 팔아 최대 5000억원을 확보할 예정이다. 매각대상의 성격상 계획한 만큼의 현금유입은 어렵다. 유입이 된다 해도 부족한 운전자금을 메꾸는 임시방편 정도에 그치는 수준이다.
대우조선의 실사가 완료되는 9월 말에는 금융위원회와 산은이 회사의 경영정상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 또한 대우조선이 내년까지 이어질 조선시장의 불황을 버틸 자금을 지원하는 정도에 그칠 것이라는 게 시장의 전망이다.
현재의 구조조정 방안들로는 대우조선의 근본적인 우려를 해소하기 힘들다는 지적이다. 대우조선은 아직 건조해야 할 해양플랜트가 많이 남아있다. 이 중엔 공사를 진행해봐야 이익 추측이 가능한 경험 부족의 프로젝트도 다수다. 추가 대규모 부실 가능성이 계속해서 언급되는 이유다.
그나마 기술력으로 인정받고 있는 상선 부문만으로는 수익회복이 어렵다. 업계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상선에서 나오는 수익으로 해양플랜트를 건조해야 하는데 5조원 규모로 수주한 러시아 야말 LNG선 프로젝트만 봐도 적자가 났다"라며 "남아있는 절반가량이 흑자를 본다 해도 척당 수익이 크지 않아 확보되는 현금은 3000억원에 그칠 것"이라고 밝혔다.
◇ 15년 임시 주인 바뀔까…방산 부문 분리매각 '불투명'
이런 상황에서 대주주인 산은은 7년 전 무산된 대우조선 매각을 재시도해야 하는 입장이다.
산은은 지난 외환위기 당시 구조조정 차원에서 대우조선 지분을 인수, 현재 31.5%의 지분을 보유 중이다. 은행법상 은행은 타법인의 의결권이 있는 주식을 15% 이상 보유할 수 없다. 그러나 구조조정을 위한 출자전환으로 지분을 확보하는 경우엔 가능하다.
산은은 이 지분을 해소하기 위해 매각을 시도해왔지만 금융위기·조선업계 불황으로 매각 타이밍을 놓쳐왔다. 지난 2008년 한화, 현대중공업, 포스코-GS컨소시엄 등이 대우조선 인수전에는 뛰어들었지만 종국엔 매각이 무산됐다.
대우조선의 재무안정화 정도를 지켜봐야 하지만, 7년 전과 비교해 대우조선이라는 매물에 대한 관심도가 거의 사라진터라 산은의 고민은 깊을 수밖에 없다.
기밀 문제상 방산 사업부를 분리매각해야 하는 점도 부담이다. 대우조선해양 전체 매출에서 방산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다. 방산 관련 제품도 선박이 건조되는 조선소에서 함께 만들어지고 있다. 방산 사업부를 물리적으로 떼어내기가 어렵다.
그간 방산제품 수출에 유리하게 작용한 '대우' 간판을 교체하기도 애매하다. 업계 관계자는 "방산 부문이 새 주인을 만나게 되더라도 직원들이 '대우' 브랜드를 가져가려 할텐데 이를 조율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5년 09월 06일 09:0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