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에 4.2兆 넣는다고 살아날까
입력 2015.10.29 16:10|수정 2015.10.30 09:16
    내년 상반기 4.2兆 자금 부족…”대규모 지원도 부족”
    수익성 높은 선박 수주 및 내부 구조조정 병행 중요
    • KDB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대우조선해양에 지원하기로 한 4조2000억원은 내년 상반기 최대 부족자금 규모다. 대우조선해양의 정상화는 결국 수주의 수익성 개선과 구조조정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분석이다.

      산업은행의 실사 결과 대우조선해양의 대규모 손실은 주로 2010년~2013년 중 수주한 프로젝트에서 비롯됐다. 해양플랜트의 공정 지연과 원가 증가, 드릴쉽 건조계약 취소 등 원인으로 손실이 발생했다.

      산업은행은 저유가 상황 지속 및 선주사의 수익성 악화로 인도 지연이 예상되고, 건조 중 증가한 비용을 선주사로부터 보전 받기도 어려울 것으로 내다 봤다. 이로 인해 건조 부문에서 올해 말까지 최대 2조원의 추가 손실을 예상했다.

      아울러 대우망갈리아의 부실 누적, 조선업과 무관한 타업종 진출(풍력 드윈드, 해운 자회사 등) 실패로 향후 처리 과정에서 1조원 수준의 손실 발생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로 인한 자금 부족 규모는 올해 말까지만 1조8000억원, 내년 상반기 4조2000억원에 이른다. 유동성 지원계획은 이에 근거해 세워졌다.

      거액의 유동성 지원에 대해 실효성은 있겠지만, 회사가 정상화 하기엔 부족한 금액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수주 정상화와 내부 구조조정도 병행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산업은행은 자구안을 통해 인력 구조조정의 불가피함을 강조했다. 해양플랜트 대부분의 인도가 끝나는 2016년 이후에는 매출 및 수주 규모에 따라 규모 축소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정용석 산업은행 구조조정본부장은 "직영 인력 1만3000여명을 순차적으로 여러 방법을 통해 줄여야 할 것으로 본다"며 "회사 측에서는 2016년 이후 적정 인력 규모를 1만명 이내로 하는 것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산업은행은 이미 수주한 해양플랜트 건조 손실 및 해외 자회사 처리 비용 등 향후 손실 요인을 반영함에 따라, 내년부터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 시현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말까지 공사 중인 해양플랜트 대부분이 인도될 예정이다.

      아울러 향후 신규 수주 시 LNG선, 대형 컨테이너선 등 경쟁력과 적정 수익성이 확보된 선박만을 수주하도록 관리할 경우 조기 정상화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채권은행들이 보유 채권의 건전성 제고 및 향후 손실 가능성 최소화를 위해 대우조선해양 정상화 작업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수주 전략의 변화와 함께 회사 내부의 구조조정도 이뤄질 전망이다. 산업은행은 대우조선해양에 수주 및 인력 운영계획, 인건비 절감 및 생산성 향상 계획, 유동성 확보 계획 등이 포함된 자구계획서를 요구했다. 회사와 경영정상화 이행약정(MOU)도 체결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이르면 2016년부터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 시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는 충당금 환입 등에 의한 것으로 실질적인 이익은 2017년으로 예상된다는 게 산업은행의 입장이다. 산업은행은 완전한 경영정상화는 2019년에나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런 계획에 대한 금융시장의 반응은 싸늘하다. 과연 4조2000억원으로 정상화가 가능할지에 대한 의문이 여전히 제기된다.

      증권사 관계자는 “당장 위기를 넘길 수 있는 최소한의 규모가 4조원이다 보니 그 돈을 쏟아 붓겠다는 것”이라며 “STX조선해양 사례처럼 이를 시작으로 수 조원의 돈이 더 들어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한번에 충분한 지원을 하겠다는 의지 자체는 긍정적으로 본다”며 “수주를 무리하게 했을 뿐 원래 부실했던 기업은 아니기 때문에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