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의 전기차 사업… 의지 강한데 구심점은?
입력 2015.11.19 07:05|수정 2015.11.19 09:20
    롯데와 빅딜 과정에서 전기차에 대한 의지 보여줘
    LG와 비교해 전기차 사업 무게감 떨어져
    전기차 사업 브랜드 인지도 향상 필요
    • 삼성의 전기차 사업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삼성은 롯데와의 빅딜(Big-Deal) 과정에서 전기차 부문을 제외한 화학사업을 정리했다. 이번 거래로 확보한 자금을 전기차 배터리 사업에 쓴다는 계획도 내놨다.

      업계에선 삼성이 전기차에 대해 분명한 의지를 드러냈다는 평가다. 그러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선 투자확대 뿐 아니라 사업 재편 등 풀어야 할 과제도 많다는 시각이 크다. 특히 전기차사업과 관련한 구조조정 여부, 그리고 사업의 컨트롤타워를 누가 맡을지가 관심이다.

      ◇ 전기차 배터리에 5년간 3兆 투자…케미칼사업 매각으로 ‘실탄’ 확보

      삼성은 화학 계열사를 롯데에 매각하면서 3조원가량의 자금을 확보하게 됐다. 2조원 정도가 들어오는 삼성SDI는 대부분을 전기차 배터리 사업에 쓸 계획이다. 삼성SDI는 3분기 실적발표에서 투자자들에게 “자동차용 전지 연구·개발(R&D) 역량 강화에 2020년까지 3조원가량을 집중 투자하겠다”고 말했다.

      삼성SDI의 배터리 사업은 그간 국내에선 LG화학, 해외에선 파나소닉을 비롯한 일본업체에 밀리며 고전했다. 업계에선 이번 빅딜이 삼성SDI의 재도약 발판으로 보고 있다.

      특히 LG와의 경쟁구도가 관심거리다. 삼성은 스마트폰에서 절대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차세대 먹거리로 평가받는 전기차 분야에선 LG에 뒤처져 있다. 전기차 배터리만 놓고 봐도 LG화학이 빠른 속도로 고객사들을 늘려가며 시장 선점에 나섰다. 시장에선 현재 수주성과가 본격 반영되는 2~3년 후 LG화학의 글로벌 시장점유율이 30%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삼성SDI의 지난해 전기차 배터리 부문 연간 투자규모는 3000억원이다. 삼성SDI가 투자자에게 밝힌대로 투자가 이뤄진다면 매년 6000억원가량이 전기차 배터리에 투입된다. 이는 LG화학이 올해 전지사업에 투자한 4000억원보다 많은 금액이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투자규모 확대에 따른 경쟁력 확보가 중장기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구심점 없는 삼성의 전기차 사업 과제 ‘수두룩’

      풀어야 할 과제도 많다. 가장 먼저 거론되는 문제는 전기차 사업의 컨트롤타워 부재다. LG는 주력 계열사인 LG전자와 LG화학의 투톱체제로 전기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삼성은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는 계열사가 없어 상대적으로 무게감이 떨어진다는 평가다.

      삼성그룹 관계자는 “삼성SDI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전기차 관련 사업을 진행하는 계열사는 없다”고 말했다.

    • 삼성SDI 중대형 전지 오프

      삼성SDI의 사업포트폴리오는 전기차 배터리 사업에 치중돼 있다. 전기차 배터리 사업은 매분기 500억원 이상의 적자가 이어지고 있다. 시장이 활성화하기 전까진 실적 반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평가다.

      전기차 분야에서 삼성의 낮은 인지도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삼성은 지난 2008년 전기차 배터리 분야 랜드 인지도 확보 및 공급처 확대를 위해 독일의 보쉬와 합작법인인 SB리모티브를 설립했다. SB리모티브는 설립 이후 줄곧 적자를 보이다 결국 보쉬의 철수로 합작관계는 청산됐다. 브랜드 인지도 확대와 유럽 진출의 교두보 마련이라는 기회를 놓쳤다.

      한 재계 관계자는 “삼성의 전기차 사업의 미래는 전자부문 사업재편 과정에서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빅딜은 삼성의 전기차 사업에 대한 의지를 보여준다. 삼성SDI 단독으로 진행되던 사업이 그룹 전반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삼성SDI를 삼성전기 등 다른 전자부문 계열사와 합병하는 사안이 거론되기도 한다.

      일각에선 삼성전자가 직접 나설 수 있다는 견해도 나온다. 삼성은 그룹차원에서 삼성전자를 밀어주기 위해 계열사의 핵심사업을 삼성전자로 이관한 사례가 있다. 지속적인 투자가 이뤄지기 위해서라도 재무적 지원여력이 가장 큰 삼성전자가 나설 수 있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