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 스카우트 어려워 은퇴인력에까지 손길
보험사 경쟁력 차별화 요인으로 부각
중장기적으로 대형사-중소형사 차이 벌어질 듯
-
'보험 계리사'의 몸값이 치솟고 있다. 경력자를 중심으로 스카우트 경쟁이 한창이다. 공급이 부족해 은퇴하는 인력에까지 손을 뻗을 정도다. 국제회계기준(IFRS4) 2단계 도입을 앞두고 회계법인도 스카우트 경쟁에 합류했다.
여기에 정부의 보험상품 규제 완화 방침이 겹치며 우수한 계리인력 확보가 보험사간 경쟁력 차별화 요인으로도 부각할 전망이다.
이달 초 조직개편을 단행한 신한생명은 기존 계리팀을 계리부로 확대했다. 교보생명 등 다른 보험사도 계리조직을 확대하며 인력 확보에 힘을 쏟고 있다. 한화생명은 지난 3년새 계리사 수를 4배 이상 늘렸다. 일부 보험사는 전문 계리인력 양성을 위해서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 보험계리사 자격증 취득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
회계법인, 보험관련 컨설팅 회사도 전문 계리인력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특히 10년차 이상의 경력이 풍부한 계리인력은 스카우트 경쟁이 벌어질 만큼 이들에 대한 수요는 높다. 은퇴를 앞둔 계리인력에게도 스카우트 ‘러브콜’이 이어지고 있다.
한 회계법인 관계자는 “대형 보험사에서 풍부한 경험을 지닌 계리사를 찾고 있다”며 “기존 연봉 이상을 제시하지만 보험사라는 안정적인 직장에서 이미 높은 연봉을 받고 있어 스카우트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
계리사의 몸값이 뛴 배경으로는 IFRS4 2단계 도입과 보험상품 규제완화가 거론된다.
2020년 IFRS4 2단계가 도입되면 보험부채 평가 방식이 전면 개편된다. 기존 원가방식이 시가방식으로 바뀜에 따라 판매한 보험삼품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져야 한다. 보험상품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는 계리인력의 수요가 그만큼 커질 수 밖에 없다.
여기에 금융당국의 보험사 상품 개발 자율성 강화가 불을 지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10월 보험상품 사전 신고제를 폐지하고 표준이율 등 보험 상품 가격규제를 철폐하는 내용의 ‘보험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보험사들로선 자체적으로 상품 개발 및 가격 산출을 할 수 있는 여지가 커짐에 따라 이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계리인력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업계 내에선 우수한 계리인력 확보가 보험사 경쟁력의 중요 요소로 부각할 것으로 보고 있다. 회계는 물론 상품개발에서부터 리스크 관리까지 계리인력의 전문 역량에 따라 보험사 자체 경쟁력이 크게 갈릴 것으로 예상되는 까닭이다.
현재 구도로 보면 대형사와 중소형사의 격차가 앞으로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자산 규모 기준 상위 7개사(생보 3개사, 손보 4개사)가 보험사에 근무하는 전체 계리사의 절반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삼성 계열 보험사가 전체 계리사의 20% 가량을 보유 중이다. 교보생명은 국내에 드문 전문 인력인 '미국 보험계리사'를 상당수 확보하고 있다. 교보라이프플래닛의 이학상 대표가 대표적인 사례다.
-
이에 반해 중소형 및 외국계 보험사의 계리사수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2014년 말 기준 대부분 중소형보험사는 20여명 안팎의 계리사를 보유했으며, 하나생명·현대라이프는 6명의 계리사만을 보유하고 있다. 보험계리사가 대형사를 선호하는 데다, 많은 수의 계리인력을 확보하는 데 비용부담이 크다는 점이 계리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현 상황에서 전문 계리인력이 처우나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중소형사나 회계법인 등으로 옮길 유인이 크지 않다는 게 보험업계의 평가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보험계리사 시험제도에서 선발예정인원을 없애는 등 계리인력 확대에 나서고 있지만, 효과가 나타나기까진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 전 분야에서 계리인력의 필요성이 더욱 증가할 것이다"라며 "영업환경이 어려워지는 시기에 중소형사로선 인력 확보 부담도 더 커졌다"고 말했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6년 01월 20일 14:33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