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간 정치·외교문제로 철수 힘들다는 분석도
-
포스코 인도네시아 법인의 수천억원대 적자가 지난해에도 이어졌다. 인도네시아 시장에 대한 부정적 전망도 지속됨에 따라 해당 법인의 구조조정을 요구하는 시장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각국 정부간 관계·투자책임 문제 등이 얽혀 있어 구조조정이 쉽게 이뤄지기 힘들다는 분석이다.
-
포스코는 크라카타우스틸과 인도네시아 일관제철소 건설을 위해 지난 2010년 각각 7:3의 지분 지율로 크라카타우포스코(PT.KP)를 설립했다. 포스코의 출자 금액은 8267억원에 이른다. 2013년말 고로가 완공된 이후 2013년·2014년·2015년 각각 419억원·2508억원·4225억원의 영업손실을 이어가고 있다.
수천억원대 적자가 이어짐에 따라 시장에서는 인도네시아 고로투자에서 철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포스코 연결기준에 실적이 포함됨에 따라 당장 포스코의 재무구조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투자를 결정했던 2010년과 비교할 때 현재 중국발(發) 공급과잉으로 아시아 철강시장의 경쟁강도가 심화됐다”며 “단기간에 공급과잉 상태가 해소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또한 “이미 투자한 금액과 손실액의 합계규모가 조(兆) 단위를 넘어섰지만 향후 투자회수 가능성이 낮고, 손실이 지속될 가능성 크기 때문에 지금이라도 철수하는 게 낫다”고 밝혔다.
PT.KP는 구조조정 대상이 아니라는 게 포스코의 입장이다. 오히려 포스코는 인도네시아 시장에 추가적인 투자의지를 보이고 있다. 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지난 1월에 열린 기업설명회(IR)에서 "제품 고부가가치화를 위해서 인도네시아 정부·국영기업과 다운스트림(열연생산 라인) 확보를 위해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경영 정상화 이후에도 PT.KP의 실적개선은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인도네시아 철강시장에서 자동차향(向) 철강제품은 이미 일본 업체들이 주도권을 쥐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일본계 오토 메이커가 전체 인도네시아 자동차 시장의 96%(2014년 기준, 자료:포스코경영연구원)를 장악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JFE·신일철주금 등 일본 철강사들은 이미 인도네시아 지역에서 하공정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와 인도네시아 정부 간의 정치·외교적 문제가 엮여있기 때문에 손실이 확대되는 상황에서도 포스코가 인도네시아 법인에서 발을 빼기 힘들다는 분석이다. 시장 일각에서는 “투자 철수가 힘들기 때문에, 더 많은 투자를 통해 경영정상화를 하겠다는 것은 악수(惡手)”라고 지적한다.
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아무리 정부(국민연금)가 최대주주인 기업이라고 하더라도 수천억원대 손실이 지속되고 향후 전망도 부정적인 상황에서 추가로 하공정 투자까지 추가적으로 하겠다는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고 밝혔다.
다른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수천억원대 투자자금이 소요되고, 수천억원대 손실이 이어진 상황에서 투자 철수를 결정한다면 누군가는 투자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며 “이에 대한 책임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투자 실패를 인정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6년 03월 13일 09:0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