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륜발전·별내에너지 매각, 흥행 가능성 커졌다
입력 2016.06.07 07:00|수정 2016.06.07 07:00
    합병 통해 효율성 제고…수익성 보완 위해 대륜E&S도 매각
    미래에셋대우, 금융도 주선…기대가격 밑돌면 직접 인수도 염두
    신재생에너지 연료전지 발전 추진…비용 줄이고 추가 수익 기대
    깨끗한 에너지 중요성 커지며 CP 인상 등 제도 개선 움직임
    • 한진중공업그룹이 추진하는 대륜발전과 별내에너지 매각이 흥행할 가능성이 커졌다. 두 회사를 합병하고 알짜회사인 대륜E&S도 묶어 매각하기로 하는 등 원매자의 관심을 끌만한 구조를 마련했고, 제도 개선이 이뤄지며 회사 가치를 높일만한 환경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한진중공업그룹은 지난해에도 NH투자증권을 매각주관사로 삼아 대륜발전과 별내에너지 매각을 추진했다. 프랑스 수처리업체 베올리아가 참여하기도 했지만, 부족한 수요와 업황 악화로 인해 시각차만 확인했다. 매각에 성공했더라도 현금 유입은 기대하기 어렵고, 차입금 부담을 줄이는데 그쳤을 것이란 평가가 나왔다.

      올해 채권단 자율협약에 들어간 한진중공업그룹은 발전사업에 밝은 미래에셋대우를 주관사로 삼아 매각을 다시 추진하고 있다. 미래에셋대우는 부족한 수요와 수익성을 보완하기 위한 매각구조 마련에 나섰다.

      ◇대륜·별내 합병하고 대륜E&S도 매각…효율성 높이고 수익성 보완

      대륜발전과 별내에너지는 초기부터 사실상 하나의 사업으로 간주해 추진됐고, 열배관도 서로 연결돼 있다.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고정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두 회사를 합병하는 방안을 선택했다. 합병 절차는 새로운 주인이 인수한 후 내년께 본격화 할 것으로 예상된다.

    • 대륜E&S도 매각 대상에 포함됐다. 가스공사에서 받은 가스에 일정 마진을 붙여 파는 사업구조 상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 알짜 회사다. 매각자 측은 2018년에야 대륜발전과 별내에너지가 충분한 수요를 확보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 전까지는 연간 300억원 내외의 상각전이익(EBITDA)을 내는 대륜E&S가 수익성을 보완하면 된다는 전략이다. 두 회사의 주주이자 지급보증으로 얽혀있다는 점도 고려했다.

      대륜E&S가 공급하는 가스를 활용해 열을 생산하는 것보다, 대륜발전과 별내에너지의 발전 과정에서 나오는 열을 활용하는 것이 회사나 소비자에 더 경제성이 높다는 지적도 있다. 대륜E&S와 두 회사의 사업권역이 일부 겹치는데, 가스와 열공급 규모를 조정해 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

      ◇ 미래에셋대우, 금융 주선하고 직접 인수 가능성…연료전지 사업도 추진

      미래에셋대우는 리파이낸싱도 주선하기로 했다. 선순위대출기관에 담보를 보강하고 중순위와 후순위에 위험부담을 지는 구조를 마련해, 연간 100억원 이상의 금융비용을 줄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사업 초기보다 시장 금리가 낮아진 상황이고, 인수 기업의 신용등급이 높을수록 그 효과는 더 커진다. 아울러 수요 확충에 걸리는 시간을 고려해, 원금 상환 시작 시기도 3년간 늦출 계획이다.

      IB 업계 관계자는 “최소한의 매각 기준 가격을 설정하되, 인수후보들이 제시한 가격이 그에 미치지 못할 경우 팔지 않을 것”이라며 “미래에셋대우는 그 경우 직접 나서 인수하는 방안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말했다.

    • 500메가와트(MW) 이상 발전사업자는 신재생에너지를 의무적으로 생산해야 하는데, 내년부터 양주 옥정지구 사업지에선 20MW급 연료전지 발전이 추진된다. 연료 중 수소와 공기 중 산소를 전기 화학반응 시키는 발전 방식으로, 6%가량의 수익률이 기대되고 함께 발생되는 열도 공급할 수 있다. 발전을 통해 확보하는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Renewable Energy Certificate)를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량을 충족해야 하는 발전사에 매각할 수도 있다. REC 매각 수익도 수 십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클린에너지 중요성 커지며 제도 변화…CP 인상에 보상체계도 개선

      2021년부터 교토의정서를 대체하는 신기후체제(파리협정)에 따라 전 세계국가의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생긴다. 석탄화력발전은 발전비용은 싸지만 액화천연가스(LNG)를 주원료로 사용하는 열병합발전(CHP, Combined Heat and Power)에 비해 공해물질을 많이 발생시킨다. 최근엔 미세먼지의 주범으로도 꼽히며 입지가 예전만 못하다.

      정부는 지난해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분산형전원을 대폭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분산형전원은 수요지 인근에서 저공해 발전방식으로 전기를 생산하기 때문에 효율성이 높고, 민원 발생 가능성도 크지 않다. 분산형전원의 핵심인 집단에너지사업의 중요성이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정부는 업계의 요구를 반영해 용량요금(CP, Capacity Payment)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 CP는 정부가 신규 설비 투자 유치를 위해 발전 여부와 무관하게 설비 용량에 대해 지급하는 금액이다. 1킬로와트시(kWh) 당 7.46원인 CP는 연내 2~3원가량 인상될 것으로 점쳐진다. 매각자 측은 3원이 인상될 경우 130억원 이상의 매출 증대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보상체계도 개선됐다. 열병합발전은 기저발전인 석탄화력과 원자력발전에 비해 가동 순위가 밀린다. 전기 수요가 없더라도 열공급을 위해선 발전기를 가동해야 하는데 이를 열제약발전이라고 한다. 정부는 지난달부터 열제약발전 시 전기 생산 공통비용(기동비·무부하비) 일부를 지급하기로 했다. 연료전지 발전도 본격화하면 열생산을 위한 비용 부담은 더 줄게 된다.

      배후 수요 확보 가능성도 크다. 분양이 완료된 별내와 진건, 갈매지구는 7만 가구에 달하고 의정부 민락지구도 1만가구에 이른다. 기반 시설은 이미 갖춰져 있고, 지하철 4호선과 8호선 연장 호재도 있다. 3년 안에 수익창출이 본격화하고, 향후 수 십년간 캐시카우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래에셋대우는 이번 달부터 매각을 본격화해 9월까지 매듭지을 계획이다. 장기적인 안목이 필요한 사업인 만큼 단기 차익실현 목적의 재무적투자자(FI)보다는 발전사업에 밝은 전략적투자자(SI)나 사모펀드(PEF)가 각축전을 벌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