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證 주관 1위지만…실적 1건 불과
ELB 6兆 발행, 분리형 BW 금지 전보다 많아
공모 빠진 자리, 산은·부띠끄·증권사 차지
-
주식연계증권(ELB) 발행 규모가 최근 5년새 최대를 기록했다. 연간 발행 규모가 총 6조원을 넘어섰지만 '아는 사람만 아는 시장'이 됐다. 정부의 규제로 인해 사모 시장이 비대칭적으로 커진 결과다.
주식시장(ECM) ELB 부문 주관 1위는 동부증권이, 2위는 신영증권이 차지했다. 공모 시장이 극도로 위축된 가운데 대형 거래 한 건만 수주해도 1위에 오를 수 있어 순위에 큰 의미는 없다는 지적이다.
올 한해 국내 주식시장에서 발행된 신주인수권부사채(BW)와 전환사채(EB), 교환사채(EB)의 총 규모는 6조956억원에 달한다. 지난해(3조9506억원)보다 크게 늘었고, 2014년(3조3056억원)의 두 배 수준이다. 모두 324개 기업이 551건의 ELB를 발행했다.
이는 분리형 BW의 발행이 금지되며 시장이 크게 위축되기 전인 2013년 이전 시장 규모도 뛰어넘는 것이다. ELB 발행이 가장 활성화됐던 지난 2011년의 총 발행 규모도 5조4873억원이었다.
보기 드문 호황이었지만, 시장에서 상품으로 ELB를 접하기는 쉽지 않았다. 공모 ELB 발행은 7300억여원으로 전체 ELB 시장의 12%에 불과했던 까닭이다. 나머지 5조3657억원의 ELB는 사모로만 발행됐다.
시장이 작다보니 대형 거래 한 건으로 순위가 갈렸다. 1위인 동부증권은 아이에스동서 2000억원 CB 발행을 단독 주관했다. 2위인 신영증권은 1500억원 규모 두산건설 BW의 대표주관사였다. 한화건설 2500억원 EB를 공동주관한 SK증권과 KB투자증권이 공동 3위에 이름을 올렸다.
공모가 사라진 시장은 부띠끄, 운용사, 국책은행, 증권사들이 차지했다. 2012년부터 ELB 전문 사모투자자로 이름을 알린 시너지파트너스가 올해에만 총 25건, 3464억여원 규모 ELB 발행에 참여했다. ELB 사모 인수량으로는 1위다.
한국산업은행도 8건의 발행에 참여해 3072억여원의 CB와 BW를 인수했다. 산업은행은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이전부터 꾸준히 사모 메자닌 투자를 해왔다. NH투자증권(2636억원, 7건), 메리츠종금증권(1800억원, 3건), 삼성증권(1170억원, 3건)도 사모 시장 단골이었다. 자기자본투자(PI)는 물론, 전량 인수 뒤 이를 나누어 매매(sell-down)하려는 목적으로 추정된다.
새로운 투자자들도 눈에 띄었다. 파인아시아운용, 라임자산운용, 수성에셋투자자문, 와이비파트너스 등이 500억~1000억원 규모의 사모 ELB 투자를 단행했다. 캐피탈·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이 주로 투자하던 사모 ELB의 투자 저변이 넓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올 초까지만 해도 지난해 공모 분리형 BW가 재허용되며 '큰 장'이 설 거라는 예상이 많았다. 현실은 예상을 빗나갔다. 그 배경으로는 지난해 발행된 현대상선 BW가 꼽힌다.
지난해 9월 1500억원 규모 BW를 발행한 현대상선 공모 청약엔 당시 4조원의 자금이 몰렸다. 시선이 쏠렸지만 결과는 신통치 않았다. 주가 급락으로 인해 신주인수권은 현재 휴지조각이 됐다. 행사가격은 3만8000원대지만, 현 주가는 7000원선에 머물고 있다. 만기 상환 여부조차 걱정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현대상선이 부정적인 선례를 남기자 공모 ELB 시장은 크게 위축됐다. 간간히 공모 시장에 나오는 ELB엔 꾸준히 조 단위 자금이 몰렸지만, '부실 기업'으로 낙인찍힐까봐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공모 발행에 나서지 않았다.
내년에도 이런 흐름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일부 기업이 사실상 분리형 BW처럼 활용하고 있는 '콜옵션부CB'에 금융당국이 감시의 손길을 뻗은 게 변수다. 콜옵션부CB도 규제당하면 사모 시장도 일부 위축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6년 12월 19일 08:33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