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K저축은행도 여당 인사 사외이사로 선임
"수익성보다 '충성' 우선 시 배임 우려도"
-
IBK기업은행장에 내정된 현직 부행장이 '낙하산' 논란에 휘말렸다. 자회사인 IBK저축은행도 얼마 전 여당 인사를 사외이사로 선임한 바 있어 '최순실 게이트' 이후 마지막 낙하산 인사처로 IBK금융그룹이 사용된다는 비판이 나온다.
금융위원회는 23일 김도진 경영전략그룹 담당 부행장을 차기 IBK기업은행장으로 임명 제청했다. 제청권을 지닌 금융위가 김 부행장과 김규태 전 수석 부행장, 관료 출신 인사 등을 검토한 뒤 김 부행장을 단독 후보로 제청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준희 전 행장·권선주 행장에 이어 3 연속 내부 출신 행장을 배출할 수 있는 기회임에도 IBK기업은행 내부 분위기는 싸늘하다. 김 부행장이 행장을 맡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내부 평가 때문이다. 부행장직을 역임한 3년 간 미래 방향 제시와 신 사업 발굴 등 본업에 충실하지 않았다는 비판이 나온다.
대신 행장이 되기 위한 '물밑 작업'에 주력했다는 지적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IBK기업은행 관계자는 "경영전략그룹 담당 부행장은 업무 특성 상 기획재정부·금융위 등 정부 부처와 접촉이 많다"면서 "경영 성과나 조직 내 신망 등 존재감이 크지 않던 김 부행장이 유력 행장 후보로 등장하자 '그동안 끈 만들기에 주력한 결과'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라고 말했다.
IBK기업은행 노조 역시 '부정 청탁에 의한 인사'라며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노조 관계자는 "지난달 14일 저녁 김 부행장이 '금융계 최순실'이라는 별명을 가진 정찬우 한국거래소 이사장과 정은보 금융위 부위원장 등을 따로 만난 것으로 확인했다"면서 "단독 후보로 제청됐으니 본격적으로 인사 검증에 나설 예정이며, 김 부행장도 협조의 뜻을 전한 상태"라고 말했다.
행내·외에서는 김 부행장이 '포스트 권선주'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권 행장은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판매 실적에 집착하고, 성과연봉제 동의서를 강제 징구하는 등 행원들이 반기지 않는 정부 정책에 앞장서 '민심'을 잃은 상태다. '박근혜 대통령 지지율보다 권 행장의 행내 지지율이 더 낮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다.
첫 내부 출신 행장이었던 조 전 행장 역시 비슷한 행보를 보였다. 지난 2012~2013년 중소기업 대출 금리를 인하·유지해 수익성을 악화시켰다는 평가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정부 요구대로 시장 흐름에 역행하는 결정을 내려 조 전 행장에 대한 행원과 투자자의 원성이 자자했다"면서 "김 부행장도 행장으로 승진한다면 조 전 행장·권 행장과 같은 길을 걸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시장에서는 '내부 출신보다 힘 있는 낙하산이 더 낫다'는 얘기까지 나온다. 내부 출신이 정부의 '선택'을 받아 경쟁자를 제친 만큼, 역설적으로 관료 출신보다 더 '충성'한다는 비판이다. 실제로 정부 정책 이행에 앞장섰던 조 전 행장과 권 행장은 선임될 당시 의외라는 평가가 많았다.
한 시장 관계자는 "'내부 출신 행장을 배출해야 한다'는 합의가 은행권에 널리 퍼져 있지만, IBK기업은행에만은 차라리 어느 정도 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정부 인사가 선임되는 것이 낫다"면서 "앞선 사례가 반복될 경우 정부를 제외한 나머지 투자자에 대한 '배임' 논란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최대주주인 기재부(지분율 51.5%)가 IBK기업은행을 정부 부처 중 하나로 인식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다. 자회사인 IBK저축은행이 지난달 말 송석구 전 새누리당 부대변인·강일원 전 청와대 행정관을 사외이사로 각각 연임·선임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두 사외이사는 박 대통령 대선 후보 캠프에서 활동한 이력이 있다.
이 같은 논란에 대해 IBK기업은행 측은 "김 부행장이 친박계 인사를 만나 부정 청탁한 사실이 없다는 해명 자료를 금융위와 함께 배포한 바 있다"면서 "IBK기업은행장 임명은 아직 금융위 제청만 끝난 상태로 관련 법에 의해 남은 절차가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6년 12월 25일 09:29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