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확충 '고민' 교보생명, 한화생명 신종자본증권에 '촉각'
입력 2017.01.23 07:00|수정 2017.01.23 07:00
    지난해 컨설팅사에 자본확충 방안 의뢰
    현재로선 대규모 자본확충 방안 마땅치 않아
    한화생명 따라 교보생명도 신종자본증권 발행 예상
    높은 발행비용·투자자 모집은 과제
    • 2021년 IFRS17 도입을 앞두고 교보생명이 어떤 자본확충 방안을 내놓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대규모 자금이 필요하지만 신창재 회장의 경영권을 유지하면서 선택할 만한 카드는 마땅치 않다. 한화생명처럼 신종자본증권 발행에 나설 수밖에 없을 것이란 전망이 많다.

      교보생명은 지난해 11월 최적의 자본확충 방안을 찾기 위해 외부에 컨설팅을 의뢰했다. 이르면 이달 중 결과를 받아 볼 것으로 예상된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자본확충 방안은 없다”라며 “컨설팅 결과를 보고 구체적인 자본확충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겠다”라고 말했다.

      현재 상황에서 딱 떨어지는 묘수를 찾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신창재 회장의 지배력 유지, 주주들의 자금 투입 여력, 생명보험업에 대한 낮은 기대감 등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기 때문이다.

      신창재 회장과 특수관계인의 교보생명 지분율은 39%다. 나머지 지분 대부분은 재무적투자자(FI)들이 나눠들고 있다. 조단위 자본확충이 필요할 수 있지만 신 회장이 개인 자격으로 수천억원을 조달하기는 쉽지 않다. 차일피일 투자회수가 늦어지고 있는 FI들이 추가 자금을 투입할 가능성도 낮다. 새 FI를 끌어들이자니 신 회장의 지배력이 공고하지 않다.

    • 기업공개(IPO)가 선택 가능한 대안으로 꼽히지만 시장 여건이 좋지 않다. 다가오는 일련의 규제와 자본확충 부담으로 보험사들의 주가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평균 주당순자산비율(PBR)은 0.6배 안팎에 머물고 있다. 기관투자가들도 보험사 투자에 고개를 젓는 상황이다.

      주주 구성도 복잡하다.  2007년 해외 투자를 유치했고, 2012년 대우인터내셔널과 자산관리공사가 대규모 지분을 매각하며 주주가 늘었다. 최근엔 교보생명 2대주주인 캐나다 온타리오교직원연금(OTTP)이 지분 일부를 다른 재무적 투자자들에게 매각했다. 이들은 투자 원금과 조건이 각각 다르다. 상장을 결정한다 해도 공모가와 매출 규모 등 조율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후순위채는 가장 손쉬운 자본확충 방법이지만, 보완자본 성격에 머무는데다 일정 기간 이후에는 자본으로 인정되는 비율이 줄어든다는 점이 고민이다. 새 회계제도 도입을 앞두고 '자본의 양과 질' 모두 끌어올려야 하는 교보생명이 대규모로 발행하기엔 쉽지 않다는 평가다.

      이 때문에 교보생명은 결국 올해 5000억원 규모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예고한 한화생명의 뒤를 따르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신종자본증권은 후순위채와 달리 일정 시간이 지나도 자본인정 비율이 감소하지 않는다. 보완자본인 후순위채에 비해 기본자본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 규제 변화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자본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점도 매력이다.

      하지만 부담도 크다. 아직까지 보험사들 중에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한 사례는 없다. 가장 큰 이유는 발행비용이 너무 높기 때문이다.

      한화생명이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기 위해선 연 4.5% 이상의 금리는 줘야 한다는 견해가 많다. 금융비용만 연간 50억~100억원이다. 교보생명이 신종자본증권 발행에 나선다면 상황이 이와 별반 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투자자 수요를 모으는 것도 걸림돌이다. 지난달 500억원 후순위채를 발행에 나선 KDB생명의 경우 5.5%의 금리를 제시하고도 투자자를 모으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신용등급이 다른 교보생명(AAA)과 KDB생명(AA-)을 같은 선상에서 비교할 수는 없지만, 신종자본증권 투자 시 감내해야 할 위험이 후순위채 보다 크다는 점을 고려하면 투자자 모집이 녹록지 않을 전망이다.

      한 보험사 리스크 담당자는 “가장 큰 수요처인 연기금·보험사들이 감내해야 할 리스크 수준을 고려할 때 투자에 나서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발행에 나서게 될 경우 한화생명과의 경쟁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발행을 하지 않더라도 투자자로서는 투자 기간이 겹치게 된다. 조 단위 물량을 시장에서 소화하기 힘든데다, 발행조건을 놓고도 두 회사간 눈치게임이 불가피하다.

      컨설팅사에 자문을 구한 것도 이런 현실 때문이다. 시간은 흘러가는 데 묘수가 없으니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외부에 자문을 구한 것이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대주주의 자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경영권을 유지하면서 자본을 확충하는 것은 모든 보험사의 숙제"라며 "교보생명이 어떠한 해법을 내놓을지에 업계 관심이 높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