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 자본확충 대안으로 떠오르는 파생상품·재보험사 활용
입력 2017.02.06 07:00|수정 2017.02.07 09:42
    파생상품·재보험사 활용해 보험사 부채 줄이는 방식
    보험사 자산이 같이 줄어드는 것은 부담 요인
    감독당국 "실제 움직임 있을 경우 모니터링 할 계획"
    • 보험사 자본확충 대안으로 파생상품과 재보험사를 이용한 방법이 떠오르고 있다. 아직 아이디어 차원이라 실제 가능 여부는 미지수지만, 자본확충을 놓고 골머리를 앓고 있는 보험사엔 한 가닥 ‘희망’이 될 전망이다.

      투자금융(IB) 업계에선 우선 파생상품을 통한 방법이 거론되고 있다. 이전에 팔았던 '확정형 고금리 보험계약'을 기초로 파생상품을 만드는 방안이다. 이 경우 부채로 잡혀있는 보험계약이 파생상품 형태로 투자자에게 이전, 보험사들의 부채규모가 감소하게 된다. 보험사들은 줄어드는 부채만큼 자본확충 부담을 덜 수 있다.

      한 IB업계 관계자는 “유럽에선 보험계약을 기초로 하는 파생상품을 만든 사례가 있다”라며 “이에 투자하는 시장도 형성돼 있다”라고 말했다.

      국내 증권사의 경우 보험사와 똑같은 경제 환경에 놓여있기 때문에 관련 파생상품을 만들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해외에 고객을 둔 글로벌 IB 등에서 상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IB들은 다양한 국가와 거래하기 때문에 금리·환율 등을 고려해 다양한 파생상품을 만들 수 있다”라고 말했다.

      재보험사에 아예 확정형 고금리 상품을 넘기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재보험사가 리스크를 짊어지는 대가로 수수료를 받는 형태다. 글로벌 IB와 마찬가지로 글로벌 재보험사들이 참여하는 방식이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두 방안 모두 현재까지는 아이디어 차원에 그치는 수준이다. 결국 문제는 ‘비용’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신종자본증권, 후순위채 발행 비용보다 외국계 IB나 재보험사에 관련 계약을 넘기는 것이 비용이 낮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견해다.

      하지만 보험계약을 넘길 경우 부채와 더불어 보험사의 자산이 줄어드는 데다, 투자자 풀(pool)이 크지 않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여기에 파생상품으로 구조화할 경우 부실화할 우려가 있다. IB업계에선 몇몇 보험사 정도가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교보생명이 의뢰한 컨설팅에도 이러한 내용이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IPO를 포함하여, 신종자본증권·파생상품·재보험사를 활용하는 방법들이 다각도로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감독당국은 실질적인 움직임이 있을 경우 모니터링 한다는 방침이다. 더불어 파생상품이나 재보험사를 활용하는 경우 완전한 보험계약 이전이 없을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이론적으론 가능할 것으로 여겨지나, 실제 보험계약이 이전될 경우 관련 리스크가 모두 넘어가야 한다”라며 “아직까진 업계의 움직임만 살펴보고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