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의 '지배구조 투명화' 해법은 참여정부 인사 영입?
입력 2018.03.08 07:00|수정 2018.03.09 10:29
    신규 사외이사로 참여정부 인사 2人 선임
    정치 외풍에 자유롭지 못한 모습 다시 보여
    독립 경영 포기한 투자자들…시스템이라도 갖춰야
    • ‘지배구조 투명화’를 내건 KT가 개정된 정관을 시장에 발표했다. 위원회에서 결정해온 CEO 신임 권한을 이사회로 넘기는 등 이사진 권한 강화가 핵심이다. 다만 정부 기조에 맞춰 신규 사외이사로 과거 참여정부 인사를 영입해 논란에 섰다. 결국 정치 외풍에서 벗어나지 못한 ‘KT의 법칙’은 이어진다는 비판이 나온다.

      5일 KT는 오는 23일 열릴 주주총회에서 확정할 정관 개정 방안을 공시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KT는 지금까지 CEO추천위원회에 속했던 회장 후보 추천 및 임명 권한을 이사회와 지배구조위원회(사외이사 4명, 사내이사 1명)으로 이관한다. CEO추천위원회는 회장후보심사위원회로 이름을 바꾼 후 후보자 심사 기능만 갖고, 이사회에 심사 결과를 보고하도록 해 권한을 제한했다.

      이는 황창규 회장이 지난해 연임을 확정하면서 이사회에 약속한 지배구조 개편 방안과 맞닿아 있다. 황 회장은 연임 직후 기관투자가 및 애널리스트들과 직접 면담하며 시장의 불만과 우려사항들을 듣기도 했다. KT는 민영화 이후에도 낙하산 회장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했고, 이는 정권교체기마다 고스란히 투자자들에게 불확실성으로 되돌아왔기 때문이다. 실제 새 정부 출범 이후 황 회장의 거취문제가 다시 거론되며 회사 주가도 역대 최저 수준인 2만원대 후반에서 횡보하고 있다.

      다만 이번 지배구조 개편에 대해 ‘반쪽짜리’ 개혁안이란 비판도 나온다. 이사진을 임명하는 권한이 과연 독립적으로 행사되는지 문제가 다시 꼬리를 물기 때문이다. 같은 날 KT의 공시를 보면 신규 사외이사로 참여정부 시절 인사인 김대유 전 청와대 경제정책수석, 이강철 전 대통령 정무특보를 선임했다. 정권 변화 시기마다 외풍에서 자유롭지 못했던 'KT의 법칙'이 다시금 떠오르는 인사 선임이다.

      지난해 황창규 회장과 시장 관계자들과의 면담에서도 이사진의 독립성 및 투명성 확보에 관한 주문이 나왔지만, 이번 개정안에 포함되지는 않았다.

      이외에도 KT는 ‘기업 경영 경력’을 회장 심사기준에 포함하는 등 앞으로 있을 정치권 인사를 방지하겠다는 방침이다. 정관내 회장 후보 심사 기준 요소로 포함됐던 '경영경험'을 '기업경영경험'으로 구체화했다. 다만 ▲경영·경제에 관한 지식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경력·학위 등 ▲기타 최고경영자로서 자질과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요소 등 ▲정보통신분야의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평가할 수 있는 요소와 같은 4가지 요건 중 일부에 지나지 않아 큰 영향력이 없을 것이란 평가도 나온다.

      시장에선 KT 특유의 구조로 인해 정치로부터의 독립을 기대하지 않는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오히려 지지부진한 지배구조 투명화보다 올해 하반기 예상되는 스튜어드십 코드 강화 등 자본시장 내 '시스템' 변화가 투자 심리의 변곡점 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국민연금을 비롯한 주주들의 권한이 강해지면서 글로벌 수준의 배당을 요구하는 등 주주환원책이 커질 수 있다는 기대감이 반영됐다.

      한 기관투자가는 "지배구조와 관련해 회사가 노력한다는 점은 체감했지만, 이번 정부 내에서도 한계가 분명하다 보니 기대감이 줄어들었다"며 "차라리 회사가 배당정책 등을 확고하게 철학으로 못박아 놓고 어떤 CEO가 오더라도 유지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추는 게 투자자를 끌어들일 해법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