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發 쓰레기 대란에 미소 짓는 사모펀드
입력 2018.04.09 07:00|수정 2018.04.10 10:49
    재활용 수출 막히자 민간 소각·매립업체 일감 늘어
    투자 PEF도 반색…”폐기물사 가치 몇 개월 새 급등”
    장기 호재인지는 의문…정부 정책·감시 강화가 변수
    • 전국이 중국발 쓰레기 대란에 시달리고 있지만 민간 폐기물 업체와 그에 투자한 사모펀드(PEF)들은 반색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들이 자체적으로 소화하기 어려운 폐기물을 민간 업체에 넘기면서 처리 물량이 늘고 가격도 덩달아 뛰고 있어서다. PEF들의 폐기물 업체 투자 열기도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이 올해부터 환경 보호를 이유로 재활용품 24종에 대한 수입을 금지하자 폐기물 수거 중단 사태가 현실화했다. 수출 판로가 막히며 재활용 쓰레기 가격은 급락했고 재활용 업체들도 비상이 걸렸다. 정부는 5일 예정했던 ‘수도권 재활용 쓰레기 문제 대응방안’ 발표를 취소하며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였다.

      일부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수거 작업에 나섰지만 미봉책이고 모든 물량을 소화하기도 어렵다. 재활용하던 쓰레기를 생활 폐기물로 분류한다면 소각하거나 매립해야 하는데 이 또한 자체적으로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 결국 상당량을 외부에 맡겨야 한다. 민간업체들이 우위에 설 수밖에 없다. 처리 단가도 급등하는 분위기다. 민간 폐기물 업체에 투자한 PEF들도 쓰레기 대란을 호재로 여기며 상황을 관망하고 있다.

      폐기물 업체에 투자한 PEF 관계자는 “지자체는 자체 소각 용량이 한계가 있기 때문에 민간 소각업체에 위탁 입찰을 해야 한다”며 “민간 업체들은 입찰 예정가가 낮으면 들어가려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업계 전반의 소각 단가가 올라가게 된다”고 말했다.

      쓰레기 매립 업체들도 반색하긴 마찬가지다. 일부 지자체들은 처치 곤란해진 쓰레기를 합법적으로든 음성적으로든 매립 업체에 맡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불법의 소지가 있는 경우도 있지만 민간 업체들은 급격한 실적 개선을 꾀할 수 있다.

      매립 업체 인수 거래에 관여한 M&A 업계 관계자는 “최근 매립 위탁 물량이 늘고 매립 단가도 크게 뛰면서 투자 후 몇 개월 사이에 회사의 가치가 전혀 달라졌다”고 말했다.

      폐기물 산업은 경쟁 강도도 높지 않다. 주민들은 폐기물 처리가 잘 되길 바라지만 폐기물 업체가 늘어나는 것은 원치 않는다. 신생 업체가 새로 허가를 얻어 진입하기 어렵다. 반면 기존 업체들은 안정적으로 사업을 이어갈 수 있다.

      최근 몇 년간 불었던 PEF들의 폐기물 업체 투자 열기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자문사들마다 PEF의 폐기물 업체 인수 관련 일감이 끊이지 않고 있다. 한 중견 PEF 운용사는 우리나라를 넘어 일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업체 인수를 검토하는 등 지역과 분야도 다양화 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다만 폐기물 업계의 훈풍이 얼마나 오래 불 지는 미지수다. 쓰레기 대란이 ‘단기 호재’인 점은 맞지만 장기적인 사업성은 정책에 달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부로선 장기적으로 폐기물을 감축하는 데 심혈을 기울일 수밖에 없다. 정책 효과가 나타나면 사업성도 대란 이전으로 회귀할 가능성이 크다.

      민간 업체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정부의 감시도 강화하고 있다. 작년엔 PEF 투자 기업 등 8곳의 폐기물 소각업체가 불법소각 혐의로 기소됐다. 맥쿼리가 투자한 진주산업은 유해물질 배출로 사업장 폐쇄 위기까지 몰렸다.

      M&A 업계 관계자는 “그간 폐기물 업체들이 허용치 이상으로 물량을 처리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앞으로 감시가 강화하면 수익성에 타격을 입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