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미래에셋·현대자동차그룹이 '금융그룹 통합감독 모범규준'에 의한 금융그룹별 자본규제 영향을 크게 받을 것이란 분석 결과가 나왔다. 삼성은 막대한 비금융계열사 지분 문제 해결이 필요하며, 미래에셋과 현대차는 각각 지배구조와 그룹 내 동반부실 리스크 관리가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26일 NICE신용평가는 금융그룹 통합감독 모범규준의 각 금융그룹별 영향을 분석한 결과 대상인 7개 금융그룹 모두 통합 자본적정성 지표가 권고수준 100%를 상회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삼성, 미래에셋, 현대차 금융그룹은 규제로 인한 영향이 비교적 클 것으로 예상돼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평이다.
이번 분석에는 조정항목인 ‘중복자본’, ‘집중위험’, ‘전이위험’ 모두가 구체적으로 반영됐다. 지난 6월 발표된 금융당국의 시뮬레이션 결과엔 중복자본과 전이위험만 반영됐다. 전이위험에 대해서도 그룹위험 관리역량 평가 등급은 중간등급인 3등급으로 단순 가정해 각 금융그룹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가늠하기엔 부족했다는 설명이다.
중복자본은 외부자금 없이 창출되는 가공자본으로, 연결 기준 레버리지 확대로 리스크를 증가시킨다. 집중위험은 금융그룹이 특정 분야에 위험 노출이 집중돼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전이위험은 계열사의 부실이 타 금융계열사로 전이될 가능성이다.
-
시뮬레이션 결과 삼성그룹의 자본비율이 111.5%로 하락했다. 조정 후 통합 자본적정성 지표가 가장 큰 폭으로, 가장 낮은 수준으로 변동된 것이다. 삼성그룹이 보유 중인 삼성전자 등 비금융계열사 지분이 막대한 점이 문제다. 비금융계열사 지분은 통합감독법 이전부터 보유하고 있어 경과규정을 적용 받겠지만 중기적으로는 지분 매각을 검토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판단이다.
비금융계열사 지분매각이 시행되지 않으면 향후 계열사간 추가출자도 어려워질 가능성이 크다. 삼성생명은 지난 4월 삼성중공업 유상증자에 참여해 391억원을 출자한 바 있다. 통합감독법 도입 이후에는 자본적정성 지표 관리로 인해 이러한 출자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해진다.
미래에셋의 조정 전후 변동폭은 삼성 다음으로 크다. 가장 신경써야 하는 부분은 지배구조 개선이다. 미래에셋은 주력 계열사에 대한 지분율이 낮고 대표회사인 미래에셋대우가 그룹 내 지배구조 최하단에 위치하는 등 복잡한 지배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중복자본과 전이위험 부문에서 조정 요인이 많이 발생한다는 분석이다.
현대차는 동반부실을 막을 그룹차원의 위험 관리역량 체계 개선이 필요할 전망이다. 현대차그룹은 통합감독 시행 시 통합 자본적정성 지표 하락폭은 크지 않지만 조정 후 수치는 119.7%로 권고수준 100%에 근접해진다. 조정 전 수치가 171.8%로 높은 편이 아니지만 전이위험 부문에서 추가조정 요인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그 외 조정 후 각 금융그룹의 자본비율은 한화는 152.9%, 롯데는 164.3%, DB는 168.7%, 교보는 200.7%까지 하락할 것으로 조사됐다.
감독규제 충족 정도는 신용평가에도 정성 요인으로 반영될 계획이다. 통합 자본적성 지표가 권고수준에 근접한 금융그룹 계열사들은 자본확충 압력이 높아짐과 동시에 위기발생 시 계열로부터의 지원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또 계열사 간 내부 거래규모가 큰 금융그룹의 경우 규제로 인해 사업기반이 위축될 가능성도 있다.
이혁준 NICE신용평가 금융본부장은 “(통합감독법 시행이) 자본확충을 유도하고 내부거래 집중화를 해소해 금융그룹 리스크를 감소시켜 신용평가 측면에서는 긍정적 영향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8년 07월 26일 13:54 게재]
입력 2018.07.26 16:42|수정 2018.07.26 16:42
감독규제 충족 정도 신용평가에도 반영될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