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GDR 발행 자금, 결국 '카카오뱅크' 몫?
입력 2018.08.02 07:00|수정 2018.08.03 10:29
    GDR 발행 후 카카오재팬 유증 외 사용 안 해
    은산분리 규제 완화 기대… '카카오뱅크를 위한 몫' 관측
    • 카카오가 지난 1월 글로벌주식예탁증권(GDR)을 발행을 통해 마련한 1조원 규모의 자금이 어디에 쓰일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시장에선 카카오뱅크를 주목하고 있다.

      카카오는 앞서 1조원대 자금을 게임, 웹툰, 음악, 동영상 등 콘텐츠 플랫폼 업체 중심으로 인수합병(M&A)하고,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 관련 국내외 기업 투자에 사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7월말 기준 카카오재팬 유상증자에 800억원을 사용한 것 외에는 자금 집행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그간 공격적인 M&A를 추진했던 카카오의 이 같은 소극적인 모습에 '카카오답지 않다'는 지적과 함께 GDR 발행의 실제 목적이 '카카오뱅크를 위한 몫'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지난 2월 카카오는 컨퍼런스콜을 통해 카카오페이와 픽코마(카카오재팬) 등이 고르게 성장하는 것을 사례로 새로운 영역에 대한 공격적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올해는 더 공격적으로 신규 영역 투자를 이어갈 것이라며 1조원 규모의 GDR 발행 이유를 설명했다. 그런데 반년이 지나도록 별 다른 자금 집행이 없는 것은 의아하다는 지적이다.

      올 하반기 인터넷은행에 대한 '은산분리' 규제가 완화될 경우 카카오뱅크에 자금 투입이 불가피할 전망이라 GDR 사용처로 지목되고 있다. 카카오뱅크 측이 기업공개(IPO) 전에 추가로 증자에 나설 계획이 없음을 밝혔지만 카카오 입장에서는 충분한 '실탄'을 보유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카카오뱅크의 BIS비율을 맞추기 위해서는 꾸준한 자금 투입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특히 여당과 금융당국이 은산분리 규제 완화에 우호적인 입장으로 선회하면서 카카오 내 인터넷은행 사업 관련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어, GDR 발행 자금을 M&A에 소진하기보다는 일단 묶어두는 게 아니냐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이 최근 '은산분리 규제 완화에 반대하지 않는다'며 입장을 밝힌 데다 최종구 금융위원장 역시 은산분리 규제 완화 특례법안 입법을 국회에 요청하고 있어 카카오 내부적으로도 기대감이 큰 것으로 안다"라며 "야당 시절 인터넷은행 은산분리 완화에 반대 입장을 견지해왔던 현 여당의 기류 변화가 감지되는 점도 하반기 정기국회에서 인터넷은행 관련 법안이 통과될 가능성이 높아 카카오 입장에서는 준비가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카카오가 주력 사업으로 꼽는 카카오페이의 마지막 퍼즐이 '카카오뱅크'라는 점도 향후 GDR 자금의 사용처가 카카오뱅크를 위한 몫이 아니냐는 목소리에 힘을 싣는다.

      카카오페이는 지난 상반기 기준 사용자수 2000만명 돌파한 가운데 가맹점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신용카드를 대신할 모바일 기반 간편결제시스템 도입해 자영업자의 카드 수수료 부담도 덜고, 나아가 카카오페이 인증을 통한 대출 시장 점유율을 확보할 전망이다. 카카오뱅크와의 시너지가 가장 기대되는 카카오페이를 주력 사업으로 키우는 상황에서 가장 우선이 되는 것은 카카오뱅크일 수밖에 없다는 게 증권업계의 시각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카카오는 카카오페이를 통한 소상공인 매출전표 확보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해 향후 소상공인 등을 상대로 한 대출시장 점유율 확보도 구상 중인 것으로 안다"라며 "제1금융권(시중 은행)과 제2금융권(저축은행·캐피탈사 등) 사이의 포지션을 생각하는 듯 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