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 부과 연기 방침에 한숨 돌린 현대차
입력 2019.05.17 10:48|수정 2019.05.17 10:51
    18일 미국 정부 최종 발표
    "한국 제외는 예단하기 일러…연기 방침에는 무게"
    큰 고비 넘긴 현대차, '지금은 표정 관리 中'
    기관투자가 투자심리 다소 회복, '여전히 신중모드'
    • 긴장모드였던 현대자동차그룹이 한숨 돌린 모양새다. 미국 정부가 글로벌 자동차 업체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를 다소 연기할 것으로 전해지면서, 갈길 먼 현대차에 단비 같은 소식이 됐다.

      미국 상무부는 현재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자동차와 관련 부품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중이다. 상무부는 지난 2월 16일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에 조사 보고를 마쳤고, 백악관은 오는 18일 관세 부과 방침에 대한 최종 확정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미국 안보에 미칠 영향을 조사한다는 취지지만 사실상 미국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한 이해득실을 따진다는 의미가 더 강하다.

      당초 알려진 대로 국내 완성차·부품업체가 미국의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것으로 예단하기는 어렵다. 다만 미국의 관세 부과 결정이 오는 18일을 지나서 최대 180일, 약 6개월간 연기될 것이란 전망은 우세한 상황이다.

      미국 정부가 중국과 무역분쟁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과 일본, 유럽 등 각 국가에 대한 관세부과 방침을 확정할 경우 전선이 대폭 확대 할 것이란 불안감도 고려해야 한다는 평가다. 자동차 업계가 미국 경제에서 미칠 영향을 따져봤을 때, 관세부과에 따른 인플레이션과 고용에 미칠 영향도 면밀히 따져봐야 한다. 미국과 '방위비 분담금'에 대해 협상을 벌이고 있는 한국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자동차 관세 부과를 미리 확정하지 않을 채 미국이 다양한 전략을 구사할 수 있다는 전략적인 판단도 작용할 것이란 전망이다.

      투자은행(IB) 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 중국과 대규모 일전을 벌이고 있는 미국 입장에서 자동차 업체에 대한 관세까지 확정하기 되면 미국 정부가 굉장히 부담스러운 상황에 빠질 수 있다"며 "복잡한 자동차 업계의 밸류 체인을 고려할 때 자동차 업계에 대한 관세 부과는 가장 마지막에 꺼낼 카드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일단 현대차는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은 채, 미국과 한국 정부의 최종 발표가 있기 전까지 '표정관리'를 하는 모습이다.

      기저효과로 인한 영향도 있었지만, 실적이 다소 회복하는 시점에서 미국의 관세부과는 현대차의 수익성에 큰 타격을 입힐 요인으로 꼽혀왔다.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현대차의 미국 내 세타2 엔진 리콜이 적절했는지에 대한 수사를 진행 중이고, 현대차는 에어백 결함과 관련한 집단소송을 당한 상태이기 때문에 대규모 자금 소요가 발생할 여지가 남아있는 상태이기도 했다.

      현대차에 투자하는 기관들의 불안감도 다소 누그러진 모양새다. 올 연말까지는 불확실성이 남아있긴 하지만, 일단은 불안 요인이 해소된 탓에 투자심리도 다시 회복하고 있다는 평가다.

    • 국내 한 기관의 주식운용 담당자는 "미국의 관세부과가 확정되면 국내 기관은 물론이고 해외 투자자들까지 상당부분 주식을 매도할 상황까지 몰렸을 수 있지만 일단은 한고비 넘긴 상태로 보인다"며 "다만 지난해 기저효과로 인해 주가가 최근 상당히 상승했고, 기본적인 사업 자체가 지난해와 비교해 더 나아졌다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지분을 늘릴 계획은 아직은 없다"고 했다.

      올해 현대차는 상당히 많은 숙제를 안고 있다. 제 1시장인 중국의 판매부진은 상수가 된 상황에서, 일단 현재의 수준을 유지하는 게 급선무다. 미국에선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의 안착과 품질 문제에 대한 불신을 잠재우는 게 시급하다. 미래차 시장에서 경쟁하기 위한 협력과 크고 작은 M&A도 필수적이다.

      국내에선 정부에서 강하게 밀어 부치고 있는 '수소연료전지차'에 대한 투자와 광주형 일자리의 연착륙이 과제다. 첫 삽을 뜨기 시작한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의 건립, 지난해 실패했던 지배구조개편도 정의선 수석 부회장의 가장 큰 숙제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