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DLF 중징계 결정...손태승 우리금융 회장 연임 불투명
입력 2020.01.30 21:29|수정 2020.01.30 21:37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 연임 불투명
    금융위에 최종 결정시기에 달려
    함영주 하나금융 부회장, 회장 연임에 제동 걸려
    •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의 연임이 불투명해졌다. 함영주 하나금융 부회장의 회장 도전은 사실상 힘들어졌다. 우리금융과 하나금융의 거버넌스가 혼란에 빠지게 됐다. 양사는 플랜B를 세워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금융감독원은 30일 오후 2시부터 3차 DLF 제재심의위원회를 개최하고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에 대한 부문검사 결과를 심의했다. 사전통보된바 대로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과 함영주 하나금융 부회장에게 모두 문책경고에 해당하는 중징계가 내려졌다.  지성규 현 하나은행장은 경징계인 주의적경고를 받았다.

      이로써 손 회장과 함영주 부회장의 앞날이 불투명해졌다.

      가장 관심이 가는 부분은 손태승 회장의 연임 여부다. 손 회장은 지난달 이사회를 열어 연임을 확정했다. 3월에 열리는 주주총회에서 승인이 되면 연임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번 제재 결정으로 연임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CEO 문책경고의 경우 3~5년간 금융기관 취업이 제한됨에 따라 연임이 불가능하다. 다만 문책경고 확정이 이뤄지고 나서 임기 후 3~5년간 금융권 취업이 제한된다는 점에서 언제 문책경고 확정이 이뤄지느냐가 관건이다.

      임원에 대한 제재는 지배구조법에 따라 금감원장 결제로 결정된다. 이날 금감원이 결정한 징계 수위를 금융위원회에서 낮추기는 쉽지 않다.

      다만 징계 시기는 금융위에 달렸다. 기관에 대한 중징계 여부는 금융위가 결정하는데, 이 결정이 이뤄져야 기관장에 대한 징계도 확정되기 때문이다. 기관에 대한 징계는 증권선물위원회와 금융위원회를 거쳐서 결정된다.

      금융위가 이 시기를 우리금융 주주총회 이전에 잡느냐 이후에 잡느냐에 따라 손 회장의 연임 가능 여부가 달라진다. 물론 이는 연임이 규정상 가능하느냐 불가능하느냐의 문제다. 지금까지 금융당국으로부터 중징계를 받은 최고경영자가 자리를 유지한 전례는 없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중징계가 결정됐지만, 손태승 회장 연임여부는 금융위가 사실상 결정하게 된다”라며 “금융위가 기관 제재를 언제 확정하느냐가 관건이다”라고 말했다.

      함영주 부회장은 사실상 회장 도전이 어려워졌다. 내년 3월 김정태 회장의 임기가 마무리됨에 따라 올해 말이면 하나금융은 차기 회장 선임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내년 말이면 부회장 임기가 끝나는 함 부회장은 금융권 취업이 제한됨에 따라 차기 회장에 도전할 수 없다. 유일한 방법은 행정소송을 제기해서 승소하는 경우지만, 가능성을 예측하기 힘들다.

      이번 결정으로 두 금융지주 모두 플랜B를 세워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그간 양사는 중징계에 대비한 플랜B를 적극적으로 마련하지 못했다. 자칫하면 시장에 두 금융지주 수장이 중징계를 받을 수 있다는 신호를 줄 수 있어서다. 하지만 이제는 본격적으로 플랜B를 가동해야 할 상황이다.

      가처분신청이나 행정소송을 통해 징계 최종 확정을 미루는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실제로 실행이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DLF에 대한 여론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정부와 각을 세우는 모양새가 되는 까닭이다.

      우선 우리금융은 차기 회장을 새로 뽑을지 이전에 손 회장처럼 새롭게 선임되는 우리은행장이 회장을 겸직하는지 등을 고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를 점검해야 할 상황이다. 우리금융 내에선 회장-행장 분리를 결정한 상황이라서 손 회장을 대신할 2인자 모색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하나금융은 차기 회장 후보를 원점에서부터 검토해야 한다. 함영주 차기 회장 체제를 위해서 수년에 걸쳐서 작업을 해왔지만 이번 결정으로 모든 것이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 그룹 내에서 함 부회장을 대신할 차기 회장 후보를 찾기 힘들다는 점에서 상당한 혼선이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그간 숨죽여온 김승유 회장 라인이 득세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두 금융지주 입장에선 거버넌스 이슈를 원점에서부터 검토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