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가는 펀더멘털…대형 증권사 AA급 신용등급 유효한가
입력 2020.04.17 07:00|수정 2020.04.20 09:19
    ELS 마진콜·ABCP 차환 불안 등
    '전에 없던 위험'으로 신용경색 우려↑
    초대형IB 'AA급' 등급 실효성 논란
    "자금조달 구조 변화 없이는 위험 반복"
    • 코로나 사태 확산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높아지면서 국내 대형 증권사의 유동성과 자산건전성이 도마 위에 올랐다. 이른바 '초대형 투자은행(IB)'의 타이틀이 붙은 대형 증권사들이 위기 상황에서 취약한 대응력을 보이면서 과연 'AA'급의 우량 신용등급이 유효한지 논란이 일고 있다.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초대형 IB'들은 유동성 리스크에 직면해 있다. ‘코로나 쇼크’가 자금시장과 실물경제까지 영향을 끼치면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롤오버 부담이 커졌다. 지금까지는 차환 발행이 이어지고 있지만 이달 중순 이후 대규모로 만기가 돌아오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3월 중순 해외 주요 지수가 급격히 하락하며 대규모 주가연계증권(ELS) 마진콜(증거급 납입)이 발생한 것도 유동성 위험을 키웠다. 자체헤지 ELS 비중이 높은 일부 대형 증권사의 경우 조단위의 유출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된다. 몇 년간 공격적으로 늘려온 위험자산의 부실 우려도 문제다. 해외 대체투자에 대한 투심 위축으로 미매각 가능성과 손상위험이 높아진 상황이다.

    • 초대형 IB의 유동성 위험이 수면 위로 떠오르자 시장에서는 이들의 ‘AA’급 우량 신용등급이 유효한지에 대한 의문의 목소리가 제기된다. 과거에는 대형 증권사들의 신용 위험요인이 수익 감소나 평판 저하 수준이었다면, 최근에는 실제 자산손상 이슈로 번져 유동성 위험이 대두되면서 하향 압력이 증가했다는 이유에서다.

      국내 초대형 IB의 장기 회사채 신용등급은 AA급 이상이다. 이중 NH투자증권, 삼성증권, KB증권은 계열 지원 가능성을 감안해 AA+ 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기업 신용평가에서 ‘AA’ 등급은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매우 높고, 예측 가능한 장래의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낮음’을 나타낸다. ‘AA+’는 사실상 국내 금융산업 내에서 디폴트 가능성이 없음을 나타내는 등급이다.

      신평업계에서는 국내 초대형 IB의 ‘우량등급’이 현 평가 체계 내에서 한두 단계 높게 책정돼 있다는 의견이 다수다. 2015년 이후 순자본비율 도입 등 자본규제가 완화되면서 특히 대형사의 위험 대비 자본완충력은 계속 저하했다. 신평업계는 대형증권사의 해외 대체투자 등 불확실성이 높은 위험자산 인수에 대한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꾸준히 언급해왔다.

      지난해 5월 한국기업평가는 신용평가방법론상 초대형IB의 자본적정성 지표가 BBB~A구간에 해당돼 자체 신용도 AA급에 비해 낮은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일부 증권사는 BBB구간에서도 한계에 이른 수준으로 파악했다.

      결국 현재의 신용평가 구조에서 증권사들이 대부분 단기 시장에 의존하는 자금조달 구조에 변화를 주지 않으면 사실상 현재의 등급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코로나 여파가 어디까지 갈지는 정확하지 않지만 자금조달 구조의 개선 없이는 변동성이 커질 때마다 유동성 위험이 대두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 국내 증권사들의 자금조달 구조를 보면 자금시장 변동성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2019년말 기준 대고객 부채를 제외한 국내 대형사의 차입부채 중 단기성차입 비중은 76.7%에 이른다. 지난달 주가연계증권(ELS) 마진콜(증거급 납입) 등 유동성 위험이 부상하자 증권사들이 CP 발행에 몰렸다. 이달 일부 증권사들의 CP 금리는 2% 중후반에서 3%대까지 치솟았다. 신한금융투자는 3%에 유통되기도 했다. 한국투자증권, 메리츠증권, 하나금융투자 등은 2% 중반을 기록했다.

      글로벌IB인 골드만삭스그룹과 노무라홀딩스는 대고객 부채를 제외한 차입부채 중 단기성차입 비중이 20% 이하다. 골드만삭스는 규모 자체도 크지만 최대 50년물 회사채 발행 등 자산과 부채의 듀레이션 균형에 집중한다는 분석이다. 또 노무라의 장기성 차입금 평균 잔존만기는 6년으로 비유동성자산의 투자에도 대응이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회사채 중 역외조달 비중도 26%에 달한다.

      국내 신평사들은 우선 1·2분기 증권사 실적과 향후 금융시장 추이를 살피고 대형 증권사들의 등급 향방을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글로벌 신용평가사들은 이미 하향 가능성을 시사했다. 무디스는 국내 초대형 IB의 신용등급 하향조정 검토에 착수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미래에셋대우의 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조정했다.

      다만 글로벌 신평사들은 국내사에 비해 국내 증권사들에 낮은 등급을 부여하고 있고, 국내 증권사의 해외 조달이 많지 않기 때문에 영향은 작다는 관측이다. 무디스와 S&P는 국내 초대형 IB에 ‘BBB’급의 장기 신용등급을 부여하고 있다. ‘BBB’급에서 한 두 단계를 조정하는 것은 비교적 쉽지만 ‘AA’급 우량등급에서는 한 단계만 내려와도 그 파장이 크기 때문에 신중할 수밖에 없다.

      신평업계 관계자는 “국내 초대형IB의 등급이 전반적으로 높게 형성돼 있는 편이고, 최근 하향 압력이 커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일단 긴급한 유동성 위험은 넘겨 2분기까지 실적을 살핀 후 등급 향방을 결정하겠지만 이번은 넘어가더라도 자금조달 구조 변화 등 근본적 개선 없이는 언제든 변동성이 커지면 똑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라고 분석했다.

      이어 “글로벌 신용평가사는 시장 지배력이 크기 때문에 등급 조정에 있어서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고, 국내사들은 선제적으로 등급을 조정하기는 어려울 뿐더러 특히 금융사의 경우 조정의 파장이 커 금융당국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