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자문, 현재는 불필요"…이재용 부회장 상속 매직에 커지는 관심
입력 2020.11.30 07:00|수정 2020.12.01 09:26
    외부자문사와 전혀 접촉 없어
    내부적으로 상속 프로세스 고민중인 듯
    정부·여당 삼성 상속 과정 예의주시
    여당 내에서 '삼성생명법' 통과 의지
    •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별세한지 한달이 지났다. 하지만 아직까지 밖으로 드러나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비롯한 오너일가의 움직임은 드러나지 않고 있다. 상속신고까지 남은기간이 5개월 밖에 없는 데다 상속세만 12조원이 넘을 것이란 점에서 어떠한 ‘상속 매직’이 나올지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일단 삼성그룹은 이와 관련한 외부 자문사 만남을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상속신고 업무를 맡기 위해 회계법인, 법무법인이 삼성그룹에 자문 의사를 타진해 보지만 접촉은 하지않고 있다는 것. 내부적으로 상속을 마무리하기에는 세간의 이목이 너무 집중된 사안이다 보니 외부 자문사를 안쓰긴 힘든 사안이다. 그 만큼 내부적으로도 고민이 깊은 것으로 풀이된다.

      한 세무 전문가는 “상속신고까지 이제 5개월 남짓 남은 상황이라 외부 자문사가 들어가도 상속신고 작업을 마무리하기에는 빠듯한 시간이다”라며 “삼성 내부적으로도 교통정리가 안된 것 아니냐는 말들마저 나오기도 한다”라고 말했다.

      무엇보다 관심은 유언장의 존재 및 공개 여부다.

      유언장의 존재 여부 조차도 세상에 알려져 있지 않다. 이건희 회장이 유언장에 어떻게 유언을 했는지에 따라서 삼성그룹의 승계구도의 기본이 흔들릴 수 있다. “이재용 부회장에게 갖고 있는 모든 주식을 양도한다”라는 문구가 없다면, 이 부회장은 홍라희 여사를 비롯해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과 이건희 회장의 지분을 법대로 나눠가져야 한다. 즉 이부진 사장과 이서현 이사장도 보유하게 될 지분만으로는 이재용 부회장과 큰 차이가 없게 되는 것이다.

      상속세만 12조원이 넘다 보니 이를 연부연납을 하더라도 그 부담이 크다. 당장 시급한 일은 6분의 1에 해당하는 2조원을 상속인이 이 회장 별세 후 6개월 내에 마련하는 일이다. 이 부회장이 갖고 있는 삼성SDS지분가치가 1조3000억원 수준임을 감안하면 당장 2조원 마련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6개월 내에 이를 마련한다 하더라도 매년 2조원의 상속세를 5년간 납부해야한다. 이재용 부회장을 비롯한 가족들의 재산을 동원하더라도 매년 2조원의 상속세를 마련하는 일은 쉽지 않다. 일각에선 상속받을 이 회장의 지분 중 일부를 매각하는 방안이 나오는 이유다. 다만 여러가지 시나리오 중에서 어떠한 방안이 택해질지는 현재로선 미지수다. 하지만 분명한건 어떠한 방안이 채택되더라도 현재와 같은 지배구조를 유지하기는 힘들 것이런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다른 세무 전문가는 “2조원을 어떻게 해서 마련을 하더라도 나머지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선 외부의 자금을 끌어 올 수 밖에 없을 것이다”라며 “이 과정에서 삼성그룹의 지배구조가 흔들릴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라고 말했다.

      상속과 관련해 이 부회장의 조용한 행보가 계속되다 보니 다양한 추측이 나온다. 이 정도 사안이면 정부와 일정의 소통이 있었을 것이란 게 이건희 회장이 별세했을 때 시장에 나오던 반응이었다. 하지만 이 부회장의 침묵이 길어지면서 일각에선 상속과 관련해 아무런 소통이 없었던 것 아니냐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이 회장이 6년간 병상에 있었지만 상속과 관련해서는 이렇다 할 해법을 내리지 못한 상황에서 현재의 상황을 맞닥뜨렸다는 것이다.

      일례로 더불어민주당의 박용진, 이용우 의원이 발의한 ‘삼성생명법’도 여당에선 입법 취지에 공감하는 의원들이 상당수다. 공정경제3법 등 현안 이슈에 밀려 법안처리가 늦어지고 있지만, 해당 법안에 대한 검토가 오래 진행된 만큼 여당 의원들의 결단만 남은 상황이다.

      해당 법안이 통과된다면 삼성생명과 삼성화재가 보유한 35조원의 삼성전자 지분 중 약 9조원어치만 남기고 팔아야 하는 상황이다. 이럴 경우 삼성물산과 삼성생명을 통해 삼성전자를 지배한 지배구조의 전면적인 개편이 불가피하게 된다. 그럼에도 삼성생명이나 다른 계열사에서 국회를 상대로한 별다른 움직임은 포착되고 있지 않다.

      한 재계 관계자는 "상속세율이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의 기업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사건이 재벌가의 상속이다"라며 "평소에 정부가 삼성에 보여주었던 관심을 생각하면 정부와 여당에서도 이재용 부회장의 움직임을 면밀히 보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