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학연금도 ‘뉴딜’ 사업?…출자 GP에 뉴딜 투자 리스트 요청
입력 2021.02.05 07:00|수정 2021.02.08 09:25
    주요 운용사들에 과거 투자 내역 요청
    산업은행이 가장 먼저 ‘뉴딜펀드’ 조성 중
    국내 공제회들도 유사 출자 사업 나설 수도
    • 정부의 뉴딜 산업 육성 기조에 맞춘 출자기관들의 움직임이 빨라졌다. 산업은행은 ‘뉴딜’펀드 조성을 위해 올해 첫 출자사업을 진행하고 있고 국내 대표 연기금 중에 하나인 사학연금도 정부 기조에 화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4일 사모펀드(PEF) 업계에 따르면 사학연금은 최근 출자한 PEF 운용사(GP)들을 대상으로 과거 투자 리스트 가운데 정부가 정한 ‘뉴딜 산업’ 관련 투자 내역을 요청했다. 사학연금은 현재 올해 블라인드펀드 출자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은 내놓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추후 진행할 출자 사업에 이 같은 내용이 반영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정부는 지난해 중순 뉴딜산업 육성 정책을 발표하며 그린 뉴딜, 디지털 뉴딜이란 큰 카테고리 내에 총 40개 분야, 200곳의 세부품목 등을 제시했다. 이에 산업은행은 국내 출자기관 중 가장 먼저 지난달 출자 공고를 내고 총 2조2000억원 규모의 펀드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국민연금은 올해 상반기 출자사업 공고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지만 아직 세부 일정은 밝히지 않았다.

      사학연금의 이 같은 움직임은 ‘뉴딜’이란 정부 정책에 출자기관으로서 일정 수준 발 맞추겠단 의지로 해석된다. 아직 보험사, 캐피탈사, 저축은행 등 민간 출자자(LP)들 사이에선 ‘뉴딜’과 관련한 출자 방향성을 심도있게 고민하진 않는 것으로 전해진다.

      PEF 업계 한 관계자는 “산업은행은 정책 출자기관이기 때문에 정부 정책에 따라 뉴딜 펀드를 조성할 것이란 투자자들의 공통된 의견이 있었으나, 사학연금이 정책적 투자 현황에 대해 시장 상황을 조사하는 것은 이례적이다”고 했다.

      ‘뉴딜 펀드’ 조성은 운용사들의 투자 자율성을 저해한다는 의견과 함께 그 범위가 상당히 광범위하기 때문에 사실상 ‘무의미’하다는 의견이 양립하고 있다. 민간 출자기관들 사이에선 다소 까다로운 조건에 매칭을 위한 출자가 제한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사실이다.

      아직 ‘뉴딜’이란 단어를 키워드로 한 출자사업은 산업은행만 진행하고 있지만, 사학연금을 비롯해 다수의 출자기관들이 유사한 형태의 사업을 진행할 가능성도 배제하긴 어렵다.

      국내 PEF 한 대표급 관계자는 “’교직원공제회를 비롯한 국내 주요 공제회 이사장들이 정례적인 모임을 갖고 의견을 교환한다”며 “대형 공제회에서 출자 사업 방향성을 ‘뉴딜’로 확실히 정할 경우 다수의 공제회들이 유사한 사업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