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選효과 지렛대 삼아 ‘봄바람’ 불까...5년 만에 건설사에 모아지는 관심
입력 2021.12.16 07:00
    주요 후보 대부분 ‘부동산 공급’에 초점
    부동산 건설주 대선효과에 ‘선거 호재’로 상승 기대감↑
    오세훈 서울시장의 재개발·재건축 공약도 호재
    • (그래픽 = 윤수민 기자) 이미지 크게보기
      (그래픽 = 윤수민 기자)

      대표적인 ‘정책 민감주’로 꼽히는 건설주가 내년 대선효과와 맞물려 5년 만에 주목받고 있다. 주요 대선후보들이 내놓은 부동산 정책이 모두 '주거용 부동산 공급'에 집중되고 있어, 건설사들의 중장기 실적 전망에 기대감을 키우고 있는 까닭이다. 

      서울 지역 위주로 정비사업 속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도 호재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재건축 및 재개발 규제 완화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정비사업에 따른 물량 공급이, 장기적으로는 신규 주택 공급이 기대되고 있는 셈이다.

      국내 대표적인 건설주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인 KODEX 건설의 1년 수익률은 현재 28%에 달한다. 지난 7월 고점을 지날 땐 연초 대비 수익률이 44%에 달하기도 했다. 최근 3달 간의 조정을 마치고 재차 8월 단기 조정때의 저점 수준에 접근하며 개인 위주의 수급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 (그래픽 = 윤수민 기자) 이미지 크게보기
      (그래픽 = 윤수민 기자)

      내년 3월 대통령 선거 이후 수혜에 대한 기대감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윤석열 국민의 힘 대선 후보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부동산 정책을 종합하면 ‘공급’에 초점이 맞춰져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두 후보 모두 전국 250만 호 주택 공급을 가장 첫 번째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다. 후보별로 방법론적인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장기적인 부동산 정책은 공급물량 확대에 기반을 두고 있다. 

      먼저 윤 후보는 5년간 수도권 130만 호 포함, 전국 250만 호 공급을 목표로 내세웠다. 청년 원가주택 30만 호, 역세권 첫집주택 20만 호 등을 포함한다. 재건축 및 재개발 규제 완화와 주택담보대출 완화 등도 공약 중 하나다. 

      이 후보 역시 전국 250만 호 공급은 동일하나 세부적인 방법은 상이하다. 공공 주도 정책을 내세웠으며 기본주택 100만 호, 장기임대 공공주택 비율을 10%로 높인다는 계획이다. 또한 국토보유세, 과세이연제도 도입 등을 공약으로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 오세훈 서울시장이 추진하는 재건축 및 재개발 규제 완화 정책 역시 건설 경기에 활기를 일으킬 전망이다.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신속통합기획(신통기)이 정비사업 위주로 불씨를 당기고 있다. 신통기는 공공이 민간 정비사업의 각종 절차를 돕는 방식으로 가장 큰 장점은 사업기간 단축이다. 공공 부문이 정비단계부터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데다 심의도 통합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의사결정이 빨라진다. 

      서울시는 현재 안전진단 기준 변경을 위해서도 힘쓰고 있다. 앞으로 서울시 정비사업 속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2018년 국토교통부가 재건축 사업의 구조안정성 확보를 이유로 안전진단 절차 및 기준을 강화한 뒤로 서울에서 안전진단을 통과한 단지는 5곳에 그쳤다. 오 시장은 지난 4월 국토부에 안전진단 기준 재정을 건의했고 5월 재개발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 정책을 발표하기도 했다. 

      주요 대선후보 및 현 서울시장이 모두 부동산 공급에 대한 의지를 보이고 있는 만큼 전반적으로 건설사 실적 기대감이 높아지는 모양새다. 통상 건설사 실적은 분양 물량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정부의 공급계획이 가시화될 때마다 건설주가가 뛰는 배경이다. 

      더욱이 건설사 주가는 유독 대선이나 정책 테마에 민감한 흐름을 보인다. 특히 국내에서는 부동산 정책이 대선의 핵심 이슈로 자리 잡으면서 ‘선거 호재’가 나올 때마다 건설주가 출렁였다. 작년 말 김현미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 교체될 시기 한국거래소의 건설업지수는 단기적으로 15% 가까이 상승했다. 지난 4월 오 시장 당선 이후에도 이 지수는 11% 가량 상승한 바 있다.

      건설사의 향후 성장 전망도 밝은 편이라는 평가다. 당장 내년부터 올해 지연된 분양 물량이 이연되는 효과로 분양 실적이 증가할 예정이다. 내년 분양 물량은 43만 호, 2023년은 50만 호 수준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올해 분양 물량이 약 40만 호 수준에 이르렀던 점을 감안하면 크게 늘어나는 것이다. 

      연간 50만 호 분양을 감당하기에는 국내 건설사들의 일손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나올 지경이다. 2000년대 이후 국내 평균 공급물량은 30만 호 수준이었고, 최대 물량은 40만 호 수준에 그쳤다. 이 때문에 대형 건설사는 물론, 중소형 건설회사나 시공사들의 수주 일감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박형렬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건설사의 실적 성장을 이끄는 출발점은 부동산 규제 완화와 공급 확대 정책”이라며 “이재명, 윤석열 두 후보의 부동산 정책의 내용은 다르지만 공급 확대라는 방향은 유사하다. 어떤 정권이 들어서든 2022년 이후 부동산 정책의 장기 방향성은 공급물량의 확대로 귀결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