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 재시동거는 서울보증보험, 관건은 '몸값' 눈높이 해소
입력 2024.02.02 07:00
    서울보증, 최근 금감원에 지정감사인 신청서 제출
    구정 후 예보·주관사단 회의서 논의 구체화할 듯
    지난해 시장과 몸값 괴리 커…공모가 욕심 버려야
    • (그래픽=윤수민 기자) 이미지 크게보기
      (그래픽=윤수민 기자)

      지난해 10월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철회했던 SGI서울보증(이하 서울보증)이 재차 상장에 나선다. 당시 서울보증은 수요예측이 부진하면서 희망 공모가 하단(3만9500원)마저 지킬 수 없게 되자 상장 철회를 결정했다. 3개월만에 재차 상장에 도전하면서, 업계에서는 서울보증이 시장과의 '몸값' 눈높이를 해소할 수 있을지에 주목하고 있다.

      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서울보증은 최근 금융감독원에 지정감사인 신청서를 제출했다. 지정감사인 신청은 일반적으로 기업공개(IPO)를 위한 첫 단계로 해석된다. 주관사단 교체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기존 주관사였던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과의 계약이 아직 만료되지 않은 만큼 당분간은 기존 주관사와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예금보험공사 한 관계자는 "IPO와 관련한 논의가 구체화한 것은 아니지만, 최근 서울보증보험이 금감원에 지정감사인을 신청했다"고 말했다.

      IB업계 한 관계자는 "지정감사인은 피(fee)가 높은 만큼 신청을 했다면 상장을 본격화하려는 움직임으로 봐야 할 것"이라며 "구정 이후 2월 중순경 예보와 서울보증, 주관사단의 미팅이 예정돼있는데, 이 자리에서 관련 논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당초 지난해 서울보증이 상장 철회를 결정했을 시점부터, 시장에서는 서울보증이 올해 또는 내년에 상장에 재도전할 것이란 시각이 많았다. 지난해 12월 유재훈 예보 사장은 기자간담회를 통해 "공자위와 상의해야 할 부분이지만 IPO나 매각 등 방법을 다양하게 찾아 내년에도 공적자금 회수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예보는 외환위기 시절 서울보증에 투입한 공적자금 10조원을 오는 2027년 말까지 회수해야 한다. 유 사장이 매각을 언급하기도 했지만, 현재 시장에 쌓여있는 보험사 매물이 산적해있어 이른 시일 내 원하는 가격에 매각하는 것이 녹록치 않다. 보증보험 영역에서 사실상 독점적 지위를 구축하고 있다는 차별점을 고려하더라도, 성장성에 대한 시장의 의구심을 지우기 힘들단 목소리가 많다.

      이에 IPO를 통한 공적자금 회수가 가장 현실적이란 평가다. 관건은 시장과의 '몸값' 눈높이 해소가 될 전망이다. 지난해 공모가를 지나치게 높게 잡으면서 기업가치에 대한 시장과의 괴리가 컸던 점이 결국 수요예측 참패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당시 서울보증이 공모가 산정을 위해 비교기업(피어그룹)으로 미국의 '트레블러스'를 선정한 것을 두고 시장에선 비판이 많았다. 시가총액만 50조원에 달하는 서울보증보다 10배가 큰 보험사를 피어그룹으로 선정해 0.95배라는 높은 PBR(주가순자산비율)을 적용하는 것이 정당하냐는 지적이다.

      공모가 욕심을 버리더라도, 지배구조 역시 걸림돌로 지적된다. 서울보증은 올해 초 이명순 전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을 신임 대표이사 사장으로 선임했다. 공직윤리시스템에 따르면 이 사장은 지난해 11월 금감원 사직 후 12월 취업심사를 통과해 같은 달 28일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사장으로 선임됐다. 유광열 전 대표에 이어 또 다시 모피아 인사이자, 사장 선임 과정이 속전속결로 진행돼 사실상 내정자가 정해진 '낙하산 인사'란 지적이 나온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하반기 금리 인하가 이뤄지면 배당주라는 서울보증에 대한 메리트가 커질 수는 있다"면서도 "원활한 상장을 위해서는 공모가를 일부 조정해 시장과의 괴리를 해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서울보증보험측은 "지정감사인을 신청했다 하더라도 상장에 대한 결정은 공적자금관리위원회의 의사결정을 거쳐야 해 구체적인 상장 시점을 지금 상황에서 언급하기는 힘들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