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리더스가 M캐피탈에 메리츠 고금리 자금 투입하면 배임 아닌가요?"
입력 2024.05.28 07:00
    취재노트
    새마을금고 운용사 교체 무산은 일부 LP들 반대 때문
    농심캐피탈ㆍVIP자산운용 등, 수십억 투자하고서는 반대
    메리츠 대출금리 조건 상당할 전망…결국 이자장사
    비리 운용사 조사도 못하고 퇴출도 못하는 금융당국
    • (그래픽=윤수민 기자) 이미지 크게보기
      (그래픽=윤수민 기자)

      사모펀드 출자비리ㆍ뒷돈거래로 M캐피탈 부사장(최우성)ㆍST리더스 대표(최원석)ㆍ새마을금고 투자팀장(최우석)이 모두 구속 또는 기소돼 유죄 판결을 받았다. 이쯤되면 운용사(GP) 교체는 수순이다.  

      그런데…위법을 저지른 당사자인 ST리더스가 M캐피탈을 계속 운영하겠다고 몽니를 부린다. 새마을금고가 운용사 교체를 시도하자 다른 기관들이 반대한다. 이 와중에 자본시장의 '샤일록' 메리츠가 비리 운용사에 돈을 대겠다고 나선다. 어이 없는 일들이 벌어지는 중이다.

      새마을금고는 왜 GP교체 못하나

      새마을금고와 ST리더스 펀드 정관엔 "운용과 관련, 중대과실이 발생하면 GP 강제교체 가능하다"라고 담겨 있다. 해석이 모호한 여지가 있다. ST리더스가 "중대과실이 아니다"라고 반대하면 법정다툼을 벌여야 한다. 

      유동성 위기에 처한 M캐피탈은 시간이 없다. 현실적이고 빠른 방법은 출자자(LP) 전원 동의를 통한 교체다. 출자기관이 총 20곳이 넘는 것으로 전해진다. 1500억원을 출자한 새마을금고는 이들 하나하나를 접촉해 동의를 구했다. 이들 가운데는 20억~30억원 정도만 출자한 기관도 있다. 단 1곳만 반대하면 교체 불가다. 

      농심캐피탈ㆍVIP자산운용의 반대가 가장 강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VIP자산운용은 아예 문서로 반대 입장을 시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NH캐피탈ㆍ코리안리도 미온적인 반응이었던 것으로 알려진다.

      ST리더스 임원들 은퇴자금 마련? M캐피탈도 이해관계 일치?

      이 정도 비리가 생기면 대개는 GP가 알아서 사임계를 제출하는데 ST리더스는 버티고 있다. '수수료'가 이유로 거론된다. 

      ST리더스는 M캐피탈 인수 이후 매년 약 25억원의 운용수수료(Management Fee)를 받아왔다. M캐피탈 상황과 무관하게 매년 꼬박꼬박 챙기는 돈이다. 운용사 지위를 반납하면 앞으로 이 돈을 못 받는다. 

      '커리어 단절'을 예상한 임원들이 선택한 '최후의 수단'이란 해석도 있다. 

      ST리더스 출자비리가 드러나는 과정에서 젊은 직원들 상당수는 회사를 떠났다. 5명의 '키맨' 가운데 3명이 재판 중이거나 회사를 나갔고 2명만 등재돼 있다. 최원석 전 대표 사임 이후 박정필 단독 체제다. 이들은 향후 업계 재취업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그러니 마지막 은퇴자금 마련을 노리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M캐피탈 임원들은 이들과 이해관계가 일치한다. 

      안정식 M캐피탈 대표를 비롯한 임원 상당수는 ST리더스를 통해 선임됐다. 구속된 최우성 씨 역시 투자 경력이 거의 없음에도 불구, 바로 이 시기에 전무를 거쳐 부사장으로 고속승진했다. 이러니 M캐피탈 현직임원들도 운용사가 바뀌면 해임될 가능성이 높다. 이들로선 ST리더스가 운용사 지위를 유지하는 게 바람직해 보인다.

      농심캐피탈ㆍVIP자산운용 등 왜 반대? 

      새마을금고는 M캐피탈 유동성 지원을 위해 NH증권ㆍ스틱얼터너티브운용 등과 함께 자금 대출을 계획했다. 대신 ST리더스는 교체해야 한다는 조건을 내걸었다. 

      다만 운용사 교체 시도 과정이 썩 원만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펀드 만기가 겨우 1년 (추가 연장 가능)남았고, 불법에 연루된 회사라 선뜻 맡아줄 운용사를 찾기 어려울 것이란 지적이 나왔다. KL&파트너스로 교체가 거론되기도 했지만 LP들의 반응은 탐탁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진다. 

      이 기회에 M캐피탈을 매각해 버리면 문제가 해결된다는 지적도 나왔다. 그러나 부동산 PF 리스크가 불거진 지금 여전사 매각은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불구, 비리 운용사를 그대로 내버려 둘 수 없다는 판단에 상당수 기관들은 교체에 동의했다. 

      그러나 정작 투자금액 20억~30억원을 낸 기관들만이 이에 반대했다. 

      이들로서는 "그냥 내 투자 지분만 비싸게 사가는 게 어떠냐"라는 대응도 가능하다. 그래야 동의해주겠다는 거래도 할 수 있다. 일종의 '알박기'인 셈. 한편으로 업계 일각에서는 ST리더스와의 연계나 끈끈한 관계(?) 가능성도 거론됐다. 물론 사실 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농심캐피탈 측은 "M캐피탈과 관련해서는 이렇다 할 입장이 없으며 새마을금고와 접촉해달라"는 입장을 밝혔다. VIP자산운용 측은 "총대를 매고 우리가 반대하는 입장은 아니다. 저희도 상황이 계속 바뀌고 있어 다른 금융사와 대화를 하며 해결책을 찾고 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메리츠, 이번에도 한계기업 대상으로 고금리 이자장사?

      ST리더스가 새마을금고의 M캐피탈 유동성 지원에 반대한 표면적인 이유 중 하나는  "우리가 더 좋은 금리조건으로 자금을 구해오겠다"로 알려진다. 

      사실 새마을금고는 M캐피탈에만 유리한 금리를 제공하기 어렵다. M캐피탈에 최대 출자자다보니 자칫 계열 부당지원 혐의가 발생가능하다. 결국 M캐피탈 재무상황과 신용도에 걸맞는 금리를 제공해야 할 상황이다.

      그렇다면 메리츠가 제공하는 금리는 이보다 낮을까. 

      메리츠는 롯데건설ㆍ태영그룹 등의 지원 과정에서 '이자 장사꾼' 면모를 톡톡히 보여줬다. 올 초 롯데건설과  대출협상 과정에도 수수료 포함 20%에 가까운 금리가 거론되며 시장을 놀래킨 바 있다. M캐피탈에 대한 금리조건도 까다로울 것이라 보는 이들이 상당수다. 신용도 저하 리스크도 발생했고, 매각 가능성도 현재 높지 않다.

      메리츠는 '담보가치가 부족하다'며 M캐피탈 핵심자산 상당수를 양도담보로 설정까지 했다. 향후 M캐피탈의 부실이 이어지고 대출상환이 어려우면 알짜 자산은 그대로 메리츠로 넘어간다. 

      결과적으로는? ST리더스는 운용사 지위를 유지하고자 새마을금고의 자금지원을 무시하고 M캐피탈에 악영향을 주는 대출을 시도한 셈이 된다. 배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워 보인다.

      감독당국은 대체 어디에? 

      상황이 이 지경에 이르렀는데 감독당국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금융감독원은 금융사들에게 "과다하게 부동산PF 수수료를 받지 말라" "고위험 대출 리스크를 전가하지 말라"며 TF를 운영하고, 수수료 현황을 점검하겠다며 보도자료를 내고 연일 홍보에 앞장서는 중이다.

      그러나 부동산 PF 리스크로 위기에 빠진 여전사를 둘러싸고 비리 운용사가 사임을 거부하고, 출자기관이 이를 용인하고, 금융회사가 금리장사를 하겠다며 이에 돈을 대고 있는 상황에 코빼기도 안 보인다. "시장에서 알아서 할 일"이라고 나오기엔… 그간 감독당국의 시장 참가자들에 대한 규제나 관리가 너무 많았다. 개입여부가 지나칠 정도로 선택적이거나 편파적으로 보인다. 

      따져보면 감독당국은 운용사 비리에 검사권한이 있음에도 불구, 그간 아무런 성과를 못 보였다. 서슬 퍼런 검찰만이 손을 댔을 뿐이다.  

      메리츠의 3000억원 대출로 M캐피탈의 재무안정성이 완전히 개선될까. 효과는 미지수다. 알짜 자산을 틀어 쥐고 묶은 대출이니 회사 상황은 더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그제서야 감독당국은 또 다른 보도자료를 준비하고 등장할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