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겹친 IMF 연차총회-정무위 국감...임종룡 회장, 증언석서 볼 수 있을까
입력 2024.08.23 07:00
    10월 시작 국정감사, 금융권 종합국감은 10월 넷째주 전망
    IMF 총회, 10월 21~26일 예정...주요 지주 회장들 출국 예상
    통상 2주 이상 체류...지난해도 KB 윤종규 회장 불참 이슈
    임종룡 회장 출석 벼르던 정치권 "종합감사때도 소환 검토"
    • (그래픽=윤수민 기자) 이미지 크게보기
      (그래픽=윤수민 기자)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을 국정감사 자리에서 볼 수 있을까. 임 회장 출석여부를 두고 우리금융과 국회 사이의 '신경전'이 벌써부터 펼쳐지고 있다. 올해에도 국제통화기금(IMF) 연차총회와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 일정이 겹칠 것으로 전망되는 까닭이다.

      잇따른 횡령ㆍ배임 사건에 이어 전직 회장이 연루된 불법 대출 사건까지 터지며 정무위 의원실 관계자들은 임 회장의 국감 출석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임 회장이 올해에도 IMF 연차총회 및 해외 설명회(IR)를 이유로 자리를 비웠을 때, 국회가 어떻게 대응할지 금융권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21일 정치권에 따르면 올해 국정감사는 10월 7일을 전후해 시작할 전망이다. 일정상 금융권 관련 정무위원회 종합국감 일정은 10월 넷째주인 21일 전후에 시작할 것으로 예측된다. 주요 금융지주 회장 등 금융권 인사들에 대한 증인 출석 요구 역시 이 시기 집중될 것으로 관측된다. 

      한 국회 관계자는 "국감 일정 조율이 어느정도 진행되고 있다"며 "금융권을 대상으로 한 정무위 감사는 21일께 시작이 유력하다"라고 말했다.

      이번 금융관련 정무위 국감의 최대 화두 중 하나는 우리금융이다. 올해 들어서도 일선 창구 직원들의 억 단위 횡령ㆍ배임 이슈가 지속되고 있는데다, 최근 손태승 전 우리금융 회장의 친인척 불법대출 사건까지 겹치며 ‘내부통제’에 구멍이 나있다는 강한 비판을 받고 있다.

      이미 국회 정무위 소속 주요 의원실에선 이번 국정감사의 핵심 아젠다로 우리금융 불법대출을 포함한 '금융회사 내부통제' 문제를 꼽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한 핵심 증인으로 임종룡 회장 등 최고 경영진의 출석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게 복수 의원실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이는 여야를 가리지 않고 있다. 정무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현 경영진들의 사건 은폐 의혹과 관련해 배임 이슈를 따져 물을 예정이다. 한 야당 국회의원은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과 조병규 우리은행장에 대한 증인 채택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당도 마찬가지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은 최근 ‘우리금융그룹 금융사고 발생 현황’ 자료를 발간하기도 했다. 임 회장의 국회 출석 요구에 대해서도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임 회장 취임 당시 정권과 연관된 '낙하산' 인사 논란이 일기도 했지만, 여당측 정무위 의원실들은 이번 국감에서 그냥 지나가지 않겠다는 분위기다. 

      물론 실제 임 회장이 국감 증인석에 설 지 여부에 대해 금융권에선 회의적인 목소리가 지배적이다. 국정감사 진행 기간이 보통 IMF 연차총회와 겹쳐왔고, 주요 금융지주 회장들은 관례적으로 해당 행사에 참여하며 국감 출석을 피해 온 까닭이다.

      지난해에도 주요 금융지주 회장들은 해외 출장 일정으로 국감 증인 소환을 피한 바 있다. 작년 국감 기간 중 모로코 마라케시에서 IMF 연차 총회가 열렸는데, 우리금융을 비롯, KBㆍ신한ㆍ하나ㆍ농협 등 5대 금융지주 회장들은 전원 연차총회 참석 및 해외 IR 진행을 이유로 최대 2주 일정의 해외 출장에 나섰다.

      올해도 국감이 열리는 기간 IMF 연차총회가 열린다. 기간은 10월21일~26일까지로 장소는 워싱턴 DC다. 장거리 해외 출장인데다 IMF 연차총회 앞뒤로 해외 투자자들과의 IR을 진행한다는 점에서 상당시간 해외에 채류할 가능성이 높다. 해당 일정상 금융권 종합 국감 시기와 겹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윤종규 전 KB금융 회장이 국감에 불출석하며 여당 정무위 의원실의 반발을 샀던 바 있다. 당시 국민은행 내부통제 문제로 윤 전 회장이 국감 증인으로 채택된 바 있다. 윤 회장은 IMF 연차총회 및 해외 IR을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이를 두고 동행명령장 발부 등 강제구인 절차 와 고발 등 후속 조치에 대해 이야기가 나왔지만, 결국 유야무야 끝났던 바 있다.

      금융권에는 이미 우리금융이 IMF 연차총회 전후 일정에 맞춰 IR 일정을 주선하기 위해 분주하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14~16일 사이엔 출국할 것이라는 구체적인 전망도 제기된다. 일부 해외 유명 사모펀드 및 연기금은 밀려드는 국내 금융지주의 IR 요청으로 일정 조율에 어려움을 겪을 정도라는 후문이다.

      주요 정무위 의원실에서도 이 같은 움직임에 대비하고 있다. 금융사 관련 정무위 국감 기간이 지나더라도, 다른 기간에 출석을 요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고발이나 강제구인 요청은 '최후의 방법'으로, 아직 구체적으로 검토되는 단계는 아닌 것으로 파악된다.

      한 정무위 의원실 관계자는 "해외 출장을 무한정 나가 있을 수는 없기 때문에 종합감사때 부를수도 있고, 11월 운영위 국감에 부를 수도 있고, 대통령실 국감 때 국정 현안으로 제시하며 출석을 요구할 수도 있다"며 "상황을 보고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