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펀드에 담길 고려아연 분쟁 고민
기존 포트폴리오 실적 부담도
-
MBK파트너스는 작년부터 10조원을 목표로 6호 바이아웃(경영권 인수) 펀드를 모집하고 있다. 현재 조성 금액은 8조원을 넘긴 것으로 전해진다. 아시아 최대 사모펀드(PEF) 운용사가 조성하는 펀드지만, 일부 시중은행은 출자를 보수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A은행은 MBK의 펀드에 출자하지 않기로 가닥을 잡았다. 과거 MBK가 투자한 포트폴리오의 실적을 염두에 두고 판단했다. 구강스캐너 기업 메디트는 MBK가 작년 2조4250억원에 인수한 이후 적자전환했다. 치과의료기기 업체인 오스템임플란트는 인수 전후로 내부 횡령, 미공개 정보 사익 편취 등 사건으로 골머리를 앓았다.
B은행도 출자 계획을 보류했다. 6호 펀드의 첫 투자처가 고려아연인 점이 부담으로 작용했다는 평가다. 사실 고려아연 공개매수는 한국 기업의 고질적인 거버넌스 왜곡을 잡는다는 명분에서 MBK가 충분히 뛰어들만한 투자다. 그러나 LP(출자자)로 참여하는 B은행은 예상 수익에 비해 리스크가 높은 거래로 받아들일 수 있다. 즉 또다른 ‘잡음’에 연루되고 싶지 않다는 얘기다.
그리고 이 '잡음' 리스크는 점점 더 커지고 있다. 금융당국과 정치권까지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에 참전한 모양새다. 중국계 자본 유출, 구조조정 등 '프레임'이 씌워진 이상 시중은행은 사실 여부와 별개로 정부의 눈치를 안 볼 수가 없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고려아연 공개매수와 관련한 불공정거래 조사 착수를 지난 8일 지시했다. 정부는 고려아연을 국가 핵심 기술 보유 기업으로 지정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국가 핵심 기술을 보유한 기업은 해외 인수합병(M&A) 때 정부 승인을 받아야 한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시중은행에 인수금융 등 대출 대비 지분(에쿼티) 투자는 '가성비'가 떨어진다는 인식이 강한 상황에서 '잡음'이 추가되면 섣불리 출자를 결정하기 어렵다"고 전했다.